marvelous home

에코앤드림에 대하여, 사업, 재무제표, 자본 본문

기업

에코앤드림에 대하여, 사업, 재무제표, 자본

고고빅샷 2023. 3. 23. 11:54

에코앤드림이 하는 사업

가. 사업의 내용
당사는 환경소재분야의 원천기술을 활용하여 촉매소재, 촉매시스템(매연저감장치), 이차전지 소재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는 핵심 소재 전문기업입니다. 당사의 사업부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시장 구분 내       용
이차전지
소재부문
양극활물질
전구체
전기자동차에 탑재되는 이차전지의 양극활물질의 전구체 시장으로 니켈, 코발트, 망간을 합성하여 제조합니다.
환경사업부문 촉매소재 자동차, 선박, 가전 등 국내외 환경기준 강화에 따른 배출가스규제를 만족하는 제품 시장입니다.
촉매시스템 국내 외 관련법에 따른 기존의 운행차량에 대한 배출가스저감장치 보급시장입니다.


나. 주요 제품 등의 매출현황
2022년 누적 매출은 605억 원이며 구성은 촉매소재 50%, 촉매시스템 26%,
기타 24%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단위 : 백만원, %)
매출
유형
품 목 2022년(제19기) 2021년(제18기) 2020년(제17기)
금액 비율 금액 비율 금액 비율
제품 촉매소재 30,397 50 30,379 39 26,046 28
제품 촉매시스템 15,645 26 33,585 43 53,567 58
제품 기타 14,480 24 13,480 18 12,706 14
합 계 60,522 100 77,444 100 92,319 100


다. 사업부문별 현황
(1) 촉매소재
전 세계적으로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국가별 환경규제가 크게 강화되는 추세입니다. 해당 사업은 세계 각 국의 온실가스 감축 및 탄소중립 등의 환경정책 방향과 긴밀하게 연결되는 시장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대기오염 물질은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는데, 주요 원인은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입니다. 세계 주요 선진국은 가장 강력한 규제인 Euro-6(On-Road, 도로용 차량), Tier-4 Final(Off-Road, 비도로용 차량)의 배기가스 규제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엄격한 배기가스 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현재까지 개발된 모든 기술을 적용해야 하며, 후처리장치(촉매) 또한 점점 더 복잡해지고 원가도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Euro-6가 적용된 차량의 경우 강화된 PM(미세먼지)과 NOx(질소산화물) 규제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DPF 및 SCR기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개발도상국 등에서는 Euro-3, Euro-4 수준의 배기가스 규제를 적용하고 있으며, 개발도상국의 경제 수준의 향상에 따라 지속적으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Euro-6 수준의 촉매기술을 바탕으로 현지 자동차 제작사와 협력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2) 촉매시스템
환경부 주관의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의 주 수요처는 사업 집행 기관인 각 지방자체단체로 서울, 경기도, 인천을 비롯한 전국의 지방자치단체입니다.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은 2005년부터 2014년까지 1단계 사업을 진행하였고, 2015년부터 2024년까지 2단계 사업의 중장기 계획하에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2018년 "미세먼지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정에 따라 전국의 2,300만 대 차량을 1~5등급으로 분류하였습니다. 환경부는 2024년까지 5등급에 해당하는 247만 대에 대한 저공해조치를 완료할 계획입니다.

(3) 이차전지소재(양극활물질 전구체)
세계 각국의 온실가스 감축 및 탄소중립 등 환경정책의 일환으로 친환경차 지원정책의 강화와 함께 친환경 전기차의 경량화, 고전압, 고밀도 등 최신 기술이 적용됨에 따라 전기자동차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전기자동차 시장의 성장에 따라, 이차전지에 요구되는 용량과 수량이 증가하게 되면서 중대형 이차전지 시장, 또한 빠르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당사가 개발 및 제조, 판매하는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전구체 소재는 양극활물질을 제조하기 위한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을 새로운 화학조성으로 합성한 기초물질로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의 핵심소재입니다. 리튬이차전지의 고용량, 고출력, 안전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원재료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의 화학조성 설계기술, 합성을 위한 공정기술의 개발이 상당히 중요합니다. 당사는 주요 고객사들과 고출력, 고용량, 안정성 등이 우수한 전기차용 양극활물질 전구체를 개발하고 있으며, 급증하고 있는 중대형 이차전지 시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라. 연구개발활동
당사는 2022년 기준으로 매출액의 약 1.36%에 해당하는 825백만 원의 연구개발 비용을 지출하고 있으며, 이차전지 소재 및 촉매소재의 신재품 개발 및 개선연구와 제조공정의 공정 및 품질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개발을 통해 환경친화적인 제품과 생산공정을 구축하고 탄소중립의 일상화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마. 참고사항
본 사업의 개요에 요약된 내용의 세부사항 및 포함되지 않은 내용 등은 "II. 사업의 내용"의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부터 "7. 기타 참고사항"까지의 항목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이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에코앤드림의 주요 제품

 

     (단위 : 백만원)
품목 주요상표 2022년 제품설명
매출액 비율
촉매소재 EK 등 30,397 50.22% - OFF-ROAD 등 신규차량에 장착하는 촉매를 고객사 주문에 따라 생산한 제품
촉매시스템 EnDsel 15,645 25.85% - 환경부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용 저감장치로 노후 의무 장착 차량등에 장착
기타 - 14,480 23.93% - SCR엔지니어링솔루션(대기오염물질 저감 설비)을 통한 환경설비 관련 서비스 제공
- 이차전지의 양극활물질의 원재료가 되는 전구체이며, 고객사의 주문에 따른 생산 제품
- 노후화된 건설기계(지게차 등)의 엔진 교체 등 기타 매출
합계 - 60,522 100.00% -


나.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
1) 촉매시스템 사업부문

     (단위 : 원)
사업연도
품목
2022년
(제19기)
2021년
(제18기)
2020년
(제17기)
촉매 시스템-
A제품(대)
내 수  2,586,128  2,595,649 3,413,521
수 출 - - -
(*) 당사 대표제품  중 기중 매출액을 매출수량으로 나누어 산정한 평균 판매단가를 기재하였습니다.


2) 촉매소재 사업부문
촉매소재 사업부문은 고객의 주문에 따라 크기와 용량이 다양하여 가격변동추이 기재를 생략합니다. 다만, 국제 금속 시세와 환율에 따른 가격변동이 있습니다.

3) 이차전지소재 사업부문
이차전지소재 사업부문은 경쟁사와 가격 경쟁 및 정보 유출의 우려가 있어 가격변동추이 기재를 생략합니다. 다만, 국제 금속 시세와 환율에 따른 가격변동이 있습니다.

원재료 및 생산설비

가. 주요 원재료 등의 매입현황

(단위 : 천원)
매입유형 품목 구분 2022년(제19기) 2021년(제18기) 2020년(제17기)
매입액 비율 매입액 비율 매입액 비율
원재료 촉매소재

촉매시스템
국내 23,148,494 62.52% 32,790,426 65.11% 28,629,964 66.07%
수입 4,993,248 13.48% 9,753,170 19.37% 8,822,541 20.36%
소계 28,141,742 76.00% 42,543,596 84.48% 37,452,505 86.43%
기타 소계 8,885,433 24.00% 7,818,405 15.52% 5,882,628 13.57%
합계 37,027,175 100% 50,362,001 100% 43,335,133 100%


나. 주요 원재료 등의 가격변동요인
원재료 주요 가격변동 요인으로는 환율변동과 국제 귀금속, 광물자원 가격 변동이 있습니다.

다. 생산능력 및 생산 실적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촉매사업 및 이차전지 사업에 대한 기술, 정보 유출 우려 등을 감안하여 상세한 표기는 하지 않으며, 당사는 선행기술확보 및 시설투자등을 통해 안정적인 생산을 유지하여, 고객사 공급량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라. 생산설비의 관한 사항

(단위 : 천원) 
자산별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
상각
기말
장부가액
증가 감소
토지 11,630,374 232,198  -  - 11,862,572
건물 13,697,943 10,221,940  - 506,819 23,413,064
기계장치 2,187,363 150,400 28,867 600,158 1,708,738
시설장치 1,203,707  -  - 105,304 1,098,403
차량운반구 105,135 68,733 7,646 44,815 121,407
비품 364,899 185,785 1,195 123,980 425,509
연구기자재 341,904 24,759  - 91,960 274,703
건설중인자산 6,773,142 22,666,419 10,811,019  - 18,628,542
합계 36,304,467 33,550,234 10,848,727 1,473,036 57,532,938

 

매출실적

(단위 : 백만원) 
매출
유형
품 목 2022년
(제19기)
2021년
(제18기)
2020년
(제17기)
제품 촉매소재 내 수 28,642 28,619 20,222
수 출 1,755 1,760 5,825
소 계 30,397 30,379 26,046
제품 촉매시스템
(매연저감장치)
내 수 15,645 33,585 53,567
수 출 - -
소 계 15,645 33,585 53,567
제품 기타 내 수 14,256 12,994 12,691
수 출 224 486 15
소 계 14,480 13,480 12,706
합 계 내 수 58,543 75,198 86,480
수 출 1,979 2,246 5,840
합 계 60,522 77,444 92,319


나. 판매전략

촉매소재는 자동차, 농기계 등 엔진 제조사의 연구개발 단계부터 참여하여 배기가스기준에 맞는 기술을 제공하여 판매가 이루어집니다. 촉매시스템은 정부의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의 일환으로 전국의 5등급 차량이 대상이 됩니다.

(단위 : 백만원) 
구분 고객사 판매경로 판매경로별 매출액
2022년
촉매소재 B2B : 완성차
(엔진) 업체
-고객사의 장기적인 엔진개발 로드맵을 파악하고 지속적인 기술교류를 통해 시장에 진입합니다. 30,397
(50.2%)
촉매시스템
(매연저감장치)
차주 -부착 대상 차량은 지자체의 의무화 명령으로 진행 합니다. 15,645
(25.9%)
기타 - 엔진교체 : 영업팀 → 공업사 → 차주
이차전지 전구체 : B2B
14,480
(23.9%)


다. 수주상황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을 현재 장기매출계약 및 장기용역 제공계약을 체결하고 있지 않으며 수요업체와 기본거래계약을 체결하고 발주를 받고 있습니다.

(1) 환경사업 부분 (촉매소재 및 촉매시스템)
당사의 제품은 수요업체와 기본거래계약을 체결하고, 4주~6주 전에 발주를 통보받아, 생산 납품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어 수주현황은 작성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2) 이차전지 양극활물질 전구체
통상 4주~12주 전에 해당월의 공급량을 협의 후에 생산 납품하고 있어, 별도의 수
주현황은 작성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에코앤드림의 연구 개발 실적

(가)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 및 시스템(매연저감장치) 사업 부문

연구개발명 연구결과 및 실적 제품화
DPF 개발
(EnDsel®PF)
연구개발기간 : ~ 2005. 1
6L급 이상 디젤엔진 장착 운행 차량에 적용 가능한 자연재생 방식의 매연 저감 장치
세라믹 담체상 촉매 코팅 기술 적용
성능(저감 효율) 
입자상 물질(PM) : 80% 이상 (최종 저감효율 : 87.7%)
일산화탄소(CO) : 95% 이상
탄화수소(THC) : 90% 이상
제품화
완료
pDPF 개발
(EnDsel®PPF)
연구개발기간 : 2005. 1 ~ 2007. 3
3~6L 급 디젤엔진 장착 운행 차량에 적용 가능한 자연재생 방식의 매연 저감 장치
금속 담체상 촉매 코팅 기술 적용 (독자 개발 기술)
성능(저감 효율) 
입자상 물질(PM) : 50% 이상 (최종 저감효율 : 51.4%)
일산화탄소(CO) : 95% 이상
탄화수소(THC) : 90% 이상
제품화
완료
pDPF 개발
(EnDsel®SPF)
연구개발기간 : 2007. 6 ~ 2008. 5
3L 이하급 디젤엔진 장착 운행 차량에 적용 가능한 자연재생 방식의 매연 저감 장치
금속 담체상 촉매 코팅 기술 적용 (독자 개발 기술)
성능(저감 효율) 
입자상 물질(PM) : 50% 이상 (최종 저감효율 : 54.7%)
일산화탄소(CO) : 95% 이상
탄화수소(THC) : 90% 이상
제품화
완료
복합 DPF 개발
(EnDsel®SX)
연구개발기간 : 2009. 3 ~ 2011. 8
3L 이하급 디젤엔진 장착 운행 차량에 적용 가능한 복합 재생 방식의 매연 저감 장치
강제 재생용 경유 버너 자체 개발 및 적용
성능(저감 효율) 
입자상 물질(PM) : 80% 이상 (최종 저감효율 : 92%)
일산화탄소(CO) : 95% 이상
탄화수소(THC) : 90% 이상
제품화
완료
복합 DPF 개발
(EnDsel®LX)
연구개발기간 : 2013. 2 ~ 2015. 7
17L 급 디젤엔진 장착 운행 차량에 적용 가능한 복합 재생 방식의 매연 저감 장치 
강제 재생용 경유 버너 자체 개발 및 적용
성능(저감 효율) 
입자상 물질(PM) : 80% 이상 (최종 저감효율 : 92.17%)
일산화탄소(CO) : 95% 이상
탄화수소(THC) : 90% 이상
제품화
완료
PM/NOx 동시저감장치 (EnDsel®PN) 연구개발기간 : 2013. 5 ~ 2015. 8
17L 급 디젤엔진 장착 운행 차량에 적용 가능한 자연재생 방식의 입자상 물질(매연) 및 질소산화물 저감 장치 
자체 개발 질소산화물 저감 촉매 및 제어 기술 적용
성능(저감 효율) 
입자상 물질(PM) : 80% 이상 (최종 저감효율 : 82.4%)
질소산화물(CO) : 70% 이상 (최종 저감효율 : 95.2%)
일산화탄소(CO) : 95% 이상
탄화수소(THC) : 90% 이상
제품화
완료
교체용 삼원촉매장치 (EnD®TWC) 연구개발기간 : 2011. 11 ~ 2015. 7
2L 이하급 휘발유 및 LPG 엔진 장착 운행 차량에 적용 가능한 교체용 삼원 촉매 장치 
자체 개발 삼원촉매 기술 적용 :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질소산화물 동시 저감 가능
제품화
완료
Tier3 대응 비도로 엔진용 DOC 연구개발기간 : 2011. 3 ~ 2012. 6
Tier3 대응 offroad 디젤엔진 적용 배출가스저감 산화촉매장치
자체 개발 디젤산화촉매(DOC) 기술 적용
제품화
완료
Tier4 대응 비도로 엔진용 DPF 시스템 연구개발기간 : 2012. 12 ~ 2014. 1
Tier4 대응 offroad 디젤엔진(2.3L, 3.4L) 적용 배출가스 및 입자상 물질 저감장치 (세계 최초 기계식 디젤엔진 적용)
자체 개발 디젤산화촉매(DOC) 및 자연재생 방식의 입자상 물질 저감 촉매(DPF) 기술 적용 
제품화
완료
Tier4 대응 비도로 엔진용 DPF 시스템 연구개발기간 : 2015. 4 ~ 2015. 12
Tier4 대응 offroad 디젤엔진(1.1L) 적용 배출가스 및 입자상 물질 저감장치 
자체 개발 디젤산화촉매(DOC) 및 자연재생 방식의 입자상 물질 저감 촉매(DPF) 기술 적용 
제품화
완료
N2O 생성 억제장치 개발 연구개발기간 : 2013. 11. 1 ~ 2017. 4. 30.
Offroad 엔진용 후처리장치의 N2O 생성 억제장치 개발
국책 과제 진행(환경부), 신기술 인증(2017년)
제품화
완료
미국 EPA
인증용 삼원촉매
개발
연구개발기간: 2017.4 ~ 2017.11
3.8L 이하 가솔린자동차 대응 A/S용 TWC의 미국 EPA 인증을 위한 삼원촉매 개발
3.8L EPA 인증 Pass(2017.11): 탄소산화물(HC) 저감율 70% 이상
제품화
완료
교체용 삼원촉매
장치 인증
연구개발기간: 2020.01 ~ 2020.10
5L 이하급 휘발유 및 LPG엔진 장착 운행 차량에 적용 가능한 교체용 삼원 촉매 장치
자체 개발 삼원촉매 기술 적용 :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질소산화물 동시 저감 가능
제품화
완료
지게차 LPG 엔진용 삼원촉매 개발 연구개발기간: 2019.9 ~ 2020.02.
Tier-4 및 Stage-V 규제 대응을 위한 지게차 LPG 엔진용 TWC 개발
제품화
완료
차세대 선박용
배출가스 후처리
촉매 개발
연구개발기간: 2020.01~현재 진행 중
향후 도래할 IMO(국제해사기구) 환경 규제 대응을 위한 선박용 배출가스 후처리 촉매 
연구
개발중
GHP(Gas engine-driven Heat Pump)용 배출가스
후처리 촉매 개발
연구개발기간: 2021.03~2022.07.30
차량용 엔진을 기반으로 하여 LNG 등의 가스 연료로 운전되는 냉난방기 실외기 GHP에 대하여 2023년부터 적용되는 배출가스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삼원촉매 기반의 배출가스 후처리 장치 개발 진행 중
제품화
완료
세미전자식 엔진 및 배기후처리
시스템 개발 
연구개발기간: 2021.10 ~ 현재 진행 중 
농기계 OEM회사 TYM(구 국제종합기계)과 함께 향후 오프로드 엔진 대상으로 미국 Tier-5 차기 규제(`24~`25 예상) 대응 Urea SCR 시스템 및 촉매(DOC/DPF/SCR/AOC) 개발 진행 중
개발 중


(나) 이차전지 소재 사업 부문

연구개발명 연구결과 및 실적 제품화
세계일류소재
개발사업
(WPM)
ㅇ 전기자동차용 고에너지 30Wh/US$급 리튬이차전지 양극소재 개발
- 연구개발기간 : 2013.04 ~ 2019.03
- 고함량 니켈(Ni 80%대) 전구체 조성 설계 및 개발
- 공침반응 주요인자 도출 및 전구체 제조제어 기술 확보
- 공정 개선을 통한 생산성 개선
   * 암모니아 저감 공정 적용 저가화 공정 개발 및 적용
   * 신규 후공정 방식 도입을 통한 생산성 개선
- 특허 등록 : 니켈-코발트-망간 복합전구체 제조방법 외 국내 7건, 해외 1건 특허 등록
제품화
완료
경제협력권산업
육성사업
(충북지역과제)
ㅇ 고온수명이 개선된 고강도 양극재 구현을 위한 복합전구체 제조기술 개발
- 연구개발기간 : 2015.10 ~ 2018.09
- 이종원소가 치환된 NCM 삼성분계 전구체 개발
- 전구체 내 이종원소 치환을 통한 고함량 니켈 전구체의 구조 문제 개선
- 특허 등록 : 이종 금속 산화물이 내부 및 표면에 코팅된 니켈-코발트-망간 복합전구체의 제조방법
제품화
완료
고밀도 양극재용
전구체

(NCM6/2/2)
ㅇ 탭밀도 1.5g/cm3 이상의 고밀도 소입경 전구체 개발
- 연구개발기간 : 2018. 01 ~ 2019.08
- Target Particle Size : 4.0~5.0um
- NCM622 삼성분계 양극활물질 전구체 소립자화 기술 확보
- 고밀도 물성 제어 양극활물질 전구체 제조기술 확보
- Pilot 샘플 단위 제품화 검증 완료
제품화
완료
고함량 니켈
(Ni 80% 이상)

전구체 개발
ㅇ 고기능성의 고함량 니켈(Ni 80% 이상) 전구체 개발 
- 연구개발기간 : 2018. 10 ~ 2021.12
- Target Ni : Ni 80% 이상 / Target Particle Size : 4.0~5.0um
- Ni 80% 이상 NCM 삼성분계 양극활물질 전구체 소립자화 기술 확보
- 고함량 니켈 양극재용 전구체 균일 입도 및 물성 제어 기술 확보
- Pilot 샘플 단위 제품화 검증 완료 및 개선 연구 완료
제품화
완료
고용량/고안정성의
차세대 양극재용
전구체 개발
ㅇ 차세대 이차전지용 고특성 양극재 전구체 개발
- 연구개발기간 : 2018.12 ~ 진행 중
- Target Particle Size : 5.0 ~ 10um
- 고용량 양극활물질 전구체 제조기술 개발
- 고전압 스피넬 양극활물질 전구체 제조기술 개발
연구
개발중
고함량 니켈
(Ni 90% 이상)
전구체 개발
ㅇ 고용량 양극소재용 고함량 니켈(Ni 90% 이상) 전구체 개발
 - 연구개발기간 : 2019.10 ~ 2021.12
 - Target Ni : Ni 90% 이상 / Target Particle Size : 3.0~4.5um
 - High-Ni 계 Low-Co 및 Co-free 전구체 제조기술 확보
 - High-Ni 조성 설계 및 조성정확도 확보
 - 균일한 입도의 물성 제어(고비표면적/고밀도) 전구체 제조 기술 확보
 - Lab/Pilot 샘플 단위 제품화 검증 및 개선 연구 완료
제품화
완료
회수된 유가금속을
이용한 고성능 양극소재용 물성제어형 전구체 이차전지의 원료화기술 개발
ㅇ 회수된 유가금속을 이용한 고성능 양극소재용 물성제어형 전구체 이차전지 원료화 기술 개발
- 연구개발기간 : 2020.04 ~ 진행 중
- 고용량, 장수명용 양극소재 개발을 위한 Co 함량 6.0% 이하의 하이니켈계 고성능 양극소재용 전구체 설계 및 제조공정 기술 개발
- 회수된 유가금속을 활용, 물성제어 전구체 제조기술 개발
- 1차년도 특허 출원 : 니켈-코발트-망간 복합전구체의 세정을 통한 밀도 증가 방법
- 2차년도 특허 출원: 재활용 원료를 활용한 균일한NCM계 전구체 제조방법
- 3차년도 특허 출원 : 리튬이차전지용 고밀도 니켈-코발트-망간 복합 전구체 제조 방법
연구
개발중
액상형 재활용 
황산금속 소재를이용한 Ni 90% 이상 
저단가 고용량
하이니켈 NCM 
양극소재 개발
ㅇ 액상형 재활용 황산금속(Ni, Co, Mn) 소재를 이용한 Ni 90% 이상 저단가 고용량
(≥215mAh/g) 하이니켈 NCM 양극소재 개발
- 연구개발기간  2021. 04 ~ 2022.12
- 액상형 재활용 황산금속 적용 고용량 하이니켈 소입경 전구체 설계 및 제조기술 개발
- 액상형 재활용 황산금속 적용 PP급 제조기술 개발
 * 액상형 재활용 원료 적용을 통한 원재료 단가 감소, 경제성 확보
연구
완료
100% 재활용
희소금속을 활용한
고용량 리튬 이차전지  양극재용 전구체
제조기술 개발
ㅇ 100% 재활용 희소금속을 활용한 고용량(≥180mAh/g) 리튬이차전지 양극재용 전구체 제조기술 개발
- 연구개발기간 : 2022.04 ~ 진행 중
- 회수된 희소금속 및 리튬 기반 고용량 양극소재용 전구체 제조기술 개발
- 전구체 성능 개선을 위한 표면 코팅, 도핑, 형상 제어 등의 물성 제어기술 개발
- 1차년도 특허 출원 : 다단계 제어를 통해 물성이 개선된 니켈-코발트-망간 복합 전구체 제조 방법
연구
개발중

 

기타 참고사항, 에코앤드림의 특허 내용

용어의 설명

용어 설명
질소산화물
(NOx)
질소산화물은 내연기관의 연소실에서 일어나는 연소반응 중 고온으로 인하여 공기 중의 질소와 산소가 결합하며 생기는 오염 물질로 일산화질소(NO), 이산화질소(NO2)등을 칭하며, 급성 중독시에는 폐수종을 일으켜 사망에 이르게 하는 물질로 주요 대기오염물질로 규제되고 있다.
PM
(Particulate Matter)
미세먼지는 대기오염물질을 포함하는 대기오염 물질로 대기 중 떠다니는 입경 10㎛이하의 미세한 먼지를 “PM10” 이라 하고, 입자가 2.5㎛ 이하인 경우는 “PM2.5(초미세먼지)”라고 칭함
디젤엔진 매연저감장치
(DPF, Diesel Particulate Filter)
디젤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PM(입자상물질, 미세먼지)을 물리적으로 포집하고 연소시켜 제거하는 배기가스 후처리장치로 DPF 시스템으로 불린다. 이러한 Filter만을 DPF라고 명칭하기도 한다.
배기가스 후처리장치
(Exhaust Gas After-treatment System)
내연기관(가솔린 및 디젤 엔진)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오염물질(탄화수소,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 입자상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로, 가솔린 엔진에 적용되는 삼원촉매장치(TWC)와 디젤엔진에 적용되고 있는 디젤산화촉매장치(DOC), 디젤엔진 매연저감장치(DPF), 질소산화물제거장치(SCR, LNT) 등이 있다.
삼원촉매
(TWC, Three-Way Catalyst)
가솔린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와 질소산화물(NOx)을 산화 및 환원 반응을 통하여 이산화탄소(CO2)와 물(H2O) 그리고 질소(N2)로 변환시키는 촉매
선택적 환원촉매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은 질소산화물(NOx)을 대기중으로 배출되기 전에 N2와 O2 등 유해하지 않은 물질로 전환시키는 촉매
디젤 산화 촉매기
(Diesel Oxidation Catalyst)
매연, CO 및 HC 농도를 낮출 수 있는 촉매
xEV  전기차(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EV), 하이브리드차(HEV) 등을 통칭한다.
LNT
(Lean NOx Trap)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질소산화물(NOx)을 산소(O2)가 충분한 분위기에서 흡착하여 저장하였다가 산소(O2)가 부족한 분위기에서 질소(N2)로 환원시켜주는 촉매
Euro 규제 디젤차의 배기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유럽 연합에서 시행하고 있는 규제로, 현재 우리나라는 Euro 6이 적용되고 있음. Euro 규제는 1992년에 유럽연합에서 최초로 시행되었으며, 한국에서는 1994년부터 적용되었음
Tier 규제 건설기계를 비롯한 Off-road 차량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줄이기 위해 미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규제로, 국내에서는 2004년부터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음.
Active DPF "강제재생방식 DPF"로 필터내에 미세먼지(PM)을 일정량 포집하고 이를 전기히터나 연료버너 등을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제거하는 방식
Passive DPF "자연재생방식 DPF"로 촉매를 사용하여 미세먼지(PM)의 촉매 반응 온도를 300℃ 수준으로 낮추고, 엔진 배출가스 온도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미세먼지(PM)을 제거하는 기술
복합재생 DPF 촉매가 재생 반응 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낮은 배출가스 온도를 보완하는 보조 재생 장치 기술이 추가되어 passive+active 방식이 결합된 기술 장치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제 노후경유차에 대해 조금 더 정확하게 분류하기 위해 환경부에서는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제”를 만들어 모든 경유차를 3~5등급으로 분류하고 있음. 
GPF
(Gasolin Particulate Filter)
"가솔린 입자상물질 필터“로 최근에 연비와 출력 향상을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가솔린 직접 분사(GDI; Gasoline Direct Injection) 엔진에 적용되고 있는 배기가스 저감 촉매임.


나. 산업의 특성과 영업 개황
(1) 사업부문 개요

구 분 시장 구분 내       용
환경사업부문 촉매소재 자동차, 선박, 가전 등 국내외 환경기준 강화에 따른 배기가스규제를 만족하는 제품 시장입니다.
촉매시스템 국내 외 관련법에 따른 기존의 운행차량에 대한 배출가스저감장치 보급시장입니다.
이차전지
소재부문
양극활물질
전구체
하이브리드와 전기자동차에 탑재되는 이차전지의 양극활물질의 전구체 시장입니다.


(2) 사업부문 별 특징

(가) 촉매 소재 (Catalyst)
인류에 미치는 환경오염의 영향이 심해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대기오염은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질소산화물(NOx), 그리고 입자상 물질(PM, 미세먼지) 등에 의하여 신체 각부의 산소 결핍, 눈병, 폐 기능 장애와 같은 인체적 위험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광화학 스모그 등의 공해와 같은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대기오염 물질은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발생되는데, 이중 상당 부분이 자동차에서 배출됩니다.

  

[자동차 배출 유해 가스]

구분 내용
탄화수소
(Hydrocarbons, HC)
- 석유의 주축을 이루는 성분으로 상온에서 가스(ex: 프로판 가스) 또는 액체(휘발유, 경유)로 존재하기도 함.
- 엔진내에서 연료가 미처 연소되지 못하여 발생
- 가솔린 자동차의 경우 3,000ppm, 디젤 자동차의 경우 300ppm
일산화탄소
(Carbon Monoxide, CO)
- 무색 무취의 기체로 일명 연탄가스로 잘 알려져 있음
- 연료가 엔진 연소실내에서 불완전 연소되는 것이 발생 원인
질소산화물
(Nitric Oxides, NOx)
- 여름철 오존발생을 일으킴
- 1700℃이상의 엔지 연소실 조건에서 대기의 80%인 질소가 산소와 결합하여 발생
입자상물질
(Particulate Matter, PM)
- 경유 자동차에서 주로 발생하는 물질로 연료가 미처 타지 못하고 발생한 매연(soot)으로 주 성분은 탄소임.
- 경유는 휘발점이 높음으로 연소실 내에서도 미처 기화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매연으로 배출됨.

  

이처럼 자동차 배출 가스가 대기오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인식되어, 미국을 시작으로 세계 각국에서는 자동차로부터 발생되는 배출 가스에 대한 규제를 도입하고 점차 강화시켜 나감으로써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동차 배출 가스에 대한 규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전 세계의 자동차 제작사들은 다양한 형태로 기술개발을 진행해 왔으며, 그 결과 배출 가스 저감에 있어 상당한 성과를 얻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신규 제작차에 대한 배출가스 기준을 강화하여 2015년부터 모든 신차에 대해 Euro-6 기준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신규 제작차에 대한 배출가스 규제 만족을 위해 다양한 후처리 촉매기술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현재 세계적으로 가장 엄격한 기준은 도로용 차량(on-road)의 경우에는 Euro-6이며, 비도로용 차량(off-road)의 경우에는 Tier-4 final입니다. 우리나라는 미국, 유럽과 마찬가지로 경유자동차에 대해서는 Euro-6 규제를 만족해야 하며, Off-road 차량에 대해서는 Tier-4 수준의 규제를 만족해야 합니다. 엄격한 배기가스 기준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현재까지 개발된 모든 기술을 적용해야 하며, 이에 따라 후처리장치(촉매)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원가도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도로용 차량의 경우 Euro-6의 강화된 PM 및 NOx 규제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모든 차종에서 DPF와 SCR기술을 적용하고 있으며, 비도로용 차량의 경우에도 Tier-4 규제를 대응하기 위하여, 배기가스 정화용 촉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DOC, DPF, SCR 등 해당 규격의 촉매 기술을 통해, 시스템 전체를 통합하고 Calibration 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개발도상국 등에서는 Euro-3, Euro-4의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이에 당사는 이미 확보된 Euro-6까지의 촉매기술을 바탕으로 해외 자동차 제작사에 진출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나)  촉매시스템 (매연저감장치)
국내 수도권 대기를 선진국 수준으로 맑게 하기 위하여,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개정으로 자동차 배출물질 허용기준이 대폭 강화되었고, 2003년 12월에는 "수도권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이하 특별법)”이 제정되었습니다. 환경오염이 심각한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대기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2005년부터 특별법이 시행되었고, 현재는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약칭 : 대기관리권역법) 제29조(경유자동차의 운행 제한)에 따라, 배출가스저감장치(매연저감장치)를 부착하지 않은 경유자동차의 운행을 제한하거나 과태료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주요 조항]

법률조항 주 요 내 용
제26조 배출가스 보증기간이 지난 경유자동차(특정경유자동차) 배출허용 기준강화 
제26조 제3항 배출가스저감장치 부착 의무 및 시, 도, 군의 조례로 의무화 명령
제26조 제5항 배출가스저감장치 부착시 경비지원 
제29조 경유자동차의 운행 제한 및 과태료 부과


(다) 이차전지 소재 부문 (양극활물질 전구체)
당사가 개발, 제조 및 판매하는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전구체 소재는, 양극활물질을 제조하기 위한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기초물질로써,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의 핵심 소재이며, 당사의 제품은 고용량, 고출력을 추구하면서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리튬전지의 구현을 위한 핵심적인 소재입니다.
본 제품은 니켈, 망간, 코발트 등의 원재료 화학조성 설계기술, 합성을 위한 공정기술의 개발이 상당히 중요합니다. 이에 당사는 고출력, 수명, 안정성 등이 확보된 새로운 화학조성의 전기차용 양극활물질 전구체를 개발, 생산하여, 급증하고 있는 중대형용 이차전지 시장에 적극 대응하고자 합니다.


다. 국내외 시장여건
(1) 시장의 특성

구분 내용
촉매 소재 자동차용 촉매
(On-Road)
도로용 차량에 대하여 엄격한 배기가스 기준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미국, 유럽과 마찬가지로 경유자동차에 대해서 Euro-6 규제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2015년부터 모든 신차에 대해 Euro-6 기준을 적용하고 있으며, 신규 제작차의 배출가스 규제 만족을 위해 다양한 후처리 촉매기술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해당 규제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현재까지 개발된 모든 기술을 적용해야하며, DPF, SCR, DOC 등의 기술이 복합적으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주요 수요자로는 자동차 및 엔진 생산업체로 전처리 장치인 엔진단계에서의 기술개발로는 강화된 환경기준을 충족할 수 없으므로, 촉매 등을 이용한 후처리 장치의 기술개발이 촉진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농기계용 촉매
(Off-Road)
농기계에도 배기가스 규제에 따라 2014년 1월 1일부터 미국과 유럽에서 off-road에 대해 각각 Tier4 Final 기준과 Euro4 기준을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촉매시장은 새로운 규제가 정기적으로 생기면서 신규시장이 창출됩니다. 또한 국내에서도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개정에 따라 2015년 1월1일부터 Tier-4 final 기준이 농기계에도 적용되어 미국이나 유럽과 마찬가지로 촉매시장이 열리게 되었습니다. 국내에서는 2015년 1월부터 56㎾(75마력) 미만과 130㎾(174마력) 이상 기종에만 새로운 기준이 우선 적용되었고, 2016년 1월부터는 56~130㎾(75~174마력) 사이의 기종에 대한 유예기간이 끝나 국내 시장이 더 확장되었습니다.
선박, 산업용
촉매 
국제해사기구(IMO)는 종전보다 강화된 환경규제인 Tier-Ⅲ 규정을 적용하여 향후에는 선박용 촉매 장치 시장이 새롭게 창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당사는 선박 엔진용 금속 담체상에서의 Urea-SCR 촉매층 형성 및 안정화 기술 개발 초기단계에서부터 연구개발에 참여하여 기술적 발판을 마련하였습니다. 주요 목표시장은 엔진제조업체인 선박 제조사입니다.
해외  동남아시아 등지의 자동차 배기 규제 수준이 고도화 됨에 따라 배기가스에 대한 후처리장치 적용이 필요한 시장입니다. 주요목표시장은 해외 자동차 완성차 또는 엔진제작업체 입니다. 
촉시스템
(매연저감장치)
국내 환경부 주관인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의 주 수요처는 사업 진행 기관인 각 지방자치단체로 서울, 인천, 경기도를 비롯한 전국의 지방자치단체입니다. 
이차전지
소재
양극활물질
전구체
이차전지 산업은 반도체, 디스플레이와 함께 정보기술 산업(IT)의 대표주자로서, 이차전지는 일반 전지와 달리 충방전을 통해 반복 사용이 가능한 화학전지입니다. 이차전지 산업 시장의 성장은 전기차가 주도할 전망입니다.
한국자동차연구원에 따르면 2021년 글로벌 전기차(BEV) 판매량은 472만대로 전년(약 220만대)대비 2배 이상으로 증가하였습니다. 블룸버그NEF는 전기차로 인한 리튬이온 배터리 수요는 2021년 연간 269GWh에서 2030년 2.6TWh, 2035년 4.5TWh로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관련 소재 시장의 동반 성장을 이끌어 내고 있습니다.


(2) 시장 규모 및 전망
(가) 촉매소재 사업 부문

① 글로벌 배기가스 촉매 시장

제품별 배기가스저감 촉매(Emission Control Catalyst) 글로벌시장규모 (Ton) (출처 : secondary sources, expert interviews, and marketsandmarkets analysis, 2020.01)

배기가스저감 촉매(ECC)는 촉매 시장에서 중요한 부문으로, 이동 및 고정오염원에 대한 제품들로 나뉩니다. 전 세계적인 차량 증가 및 급격한 산업화는 대기질 및 인류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이러한 이유로 배기가스저감 촉매는 차량 및 산업용 기계들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저감 하는 필수적인 부품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이동오염원은 전 세계 배기가스저감 촉매 시장에서 HDV(Heavy Duty Vehicle) 및 LDV(Light Duty Vehicle)로부터 배출되는 VOC(Volatile Organic Compound)들로 인하여 2018년에 82.2%의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였으며, 2024년까지 5.2%의 연평균 성장률(CAGR)이 예상되며, 2024년까지 609.7톤의 시장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고정오염원용 배기가스저감 촉매는 이산화황, 질소산화물, 암모늄 및 먼지 등을 배출하는 곳에 사용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전 세계 시장에서 약 17.8%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2024년까지 4.2%의 연평균 성장률(CAGR)이 예상되며, 2024년까지 124.4톤의 시장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제품별 배기가스저감 촉매(Emission Control Catalyst) 글로벌 시장규모 (USD Million)(출처 : Secondary Sources, Manufacturers of Emission Control Association (MECA), Association for ECCs, Diesel Net Technology Guide, Fidelity, Factiva, Expert Interviews, and MarketsandMarkets Analysis, 2020.01)

전 세계 배기가스저감 촉매 시장은 2019년 210.5억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7.7%로 증가하여, 2024년에는 304.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엄격한 배기가스 기준 및 세계적으로 성장하는 자동차 산업은, 이동식 오염원을 줄이기 위한, 배기가스저감 촉매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중국은 관련 시장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가질 것으로 예측되는데, 이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자동차 시장을 보유하고 있어 향후 이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입니다.

자동차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에 따라 배기가스의 배출량 또한 증가하고 있는데, 이로 인하여 EU는 2020년 평균 CO2 배출 목표를 공식적으로 제안했습니다. EU 규제는 모든 차량에 대한 CO2 배출 목표치를 차량의 평균 중량에 따라 다르게 제시하고 있습니다. 새로 적용될 배기가스 기준에서는 더 높은 오염 물질 제거율을 필요로 하므로 이를 위한 촉매 기술의 추가적인 개발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배기가스저감 촉매는 고정오염물질 배출원에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발전소, 정유, 가스 터빈과 같은 곳이 배기가스저감 촉매의 주요한 사용처입니다. 산업부문에서도 오염물질 배출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ECC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② 이동오염원 (Mobile Source)

이동오염원 부문에서 사용되는 배기가스저감 촉매는 귀금속에 기반한 촉매가 대부분 사용되고 있는데, 경제적 가치 측면에서 약 전체 시장에서 82.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동차용 촉매 시장은 도로용(On-Road) 및 비도로용(Off-Road)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a) 도로용(On-Road)

도로용 시장은 전체 차량 생산량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고 있기 때문에, 이동오염원에 대한 배출가스저감촉매 시장 역시 매우 큰 시장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도로용 촉매시장은 비도로용보다 큰 시장을 가지고 있으며, 도로용 시장은 크게 LDV, HDV, Motorcycle(이륜 및 삼륜)로 다시 나눌 수 있습니다.
LDV는 승용차, 소형트럭, Van, 미니버스(대략 3.5-7톤 사이)로, LDV에 사용된 촉매는 산화 촉매(Oxidation catalyst), 삼원촉매(Three Way Catalyst), LNT, FWCC, SCR 등이 있으며, 트럭 및 버스들은 HDV 부문에 속해 있습니다. 이러한 트럭 및 미니 버스에는 산화촉매(oxidation catalyst) 및 SCR 기술이 탑재되어, NOx, TVHC, NMHC, CO, PM을 동시에 저감 시키며, 오토바이는 배기가스저감 촉매의 가장 작은 소비자로, 산화촉매와 삼원촉매가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b) 비도로용(Off-Road)

비도로용 배기가스저감 촉매는 농기계, 건설기계, 광산 장비, 기관차 및 선박과 같은 각기 다른 범주에서 사용되는 엔진에 적용됩니다.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인구, 토양 비옥도 저하, 그리고 예측할 수 없는 기후 변화로 인하여 전 세계적인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농작물 수요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농업용 트랙터는 생산량, 토양 비옥도, 식품의 질을 개선하는 데 있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숙련된 농업 노동력 부족, 인건비 증가하는 환경에서 운영 효율성과 수익성을 개선하는데 있어 반드시 필요하다고 여겨지고 있어, 농기계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농업용 트랙터 제조업체들은 배출가스 시스템과 관련된 기술 도입을 통하여 한 단계 더 발전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③ 고정오염원 (Stationary Sources)

발전소, 정유시설, 가스터빈, 화학적 및 산업 처리 시설, 제철소, 제련소 등의 고정오염원은 직간접적으로 가장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습니다. 가동 중에 발생하는 VOC, HAPs, NOx 등의 유해한 배출물들은 촉매 기술과 배기가스 저감 장치를 통해 저감 됩니다. SCR 시스템은 산업공정에서 발생하는 NOx를 저감 하는데 광범위하게 사용되는데, 90% 이상의 NOx를 제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정오염원 중 발전소는 석탄 및 천연가스등이 연소될 때 NOx, CO, HC와 같은 많은 오염물질이 발생하는데, 이를 처리하기 위하여 SCR와 LNT 등의 기술이 사용됩니다. 산화바나듐(Vanadium oxide)이 주성분인 SCR 촉매는, 발전소의 오염물질 저감을 위해서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④ 국내 자동차 촉매 시장

[국내 배기가스저감촉매(Emission Control Catalyst) 제품별시장 규모2017-2024(ton)] (출처 : Secondary Research, Primary Interviews, and MarketsandMarkets Analysis, 2020.01)

 

 

국내 배기가스저감 촉매 시장은 2024년까지 2.4%의 연평균 성장률(CAGR)이 예상되며, 2024년까지 28.1톤의 시장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금액적으로 국내 배기가스저감 촉매 시장은 2019년 9.1억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5.1%로 증가하여, 2024년에는 11.7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내 시장은 아세안태평양지역(APAC) 지역에서 가장 큰 배기가스저감 촉매 시장 중의 하나입니다. 자동차 산업은 한국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 분야 중에 하나이며, 경제적 성장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국내의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자동차 판매실적의 개선과 고객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끌기 위해 새로운 모델을 지속적으로 출시하고 있습니다.

  

다른 아세안태평양지역(APAC)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환경부는 차량 및 엔진에 대한 배기 기준을 적용하여 규제하고 있으며, 차량 종류에 따라, 유럽 또는 미국 기반의 배기기준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디젤 엔진에 대한 배기 기준은 유럽 기준인 Euro 6 기준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시험방법 역시 유럽과 유사합니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 관리를 위하여, 기업 평균 연비 및 CO2 배기가스 기준을 LDV 차량에 적용하였으며,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현재 수준의 37%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자동차 관련 산업에 대한 유인책과 자유 무역 확대를 위한 노력은, 자동차 산업을 위한 자유 무역 구역의 확대 및 자동차 수요를 증가시켜, 배기가스저감 촉매 시장의 수요를 증가시킬 것으로 기대됩니다.


(나) 촉매시스템(매연저감장치) 사업 부문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은 2005년부터 2014년까지 1단계 사업을 진행하였으며 2015년부터 2024년까지 중장기 계획하에 2단계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2016년 6월 "미세먼지관리 특별대책 수립"정책에 따라 현재와 같이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관련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일자 관련 사항
2005년 11월 제1차 수도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 수립
2013년 12월 제2차 수도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 수립
2016년 06월 미세먼지 관리 특별대책 수립
2017년 05월 제2차 수도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 변경계획
2017년 09월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 수립
2017년 12월 수도권 비상저감조치 첫 시행
2018년 03월 미세먼지 환경기준 강화
2018년 08월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정
2018년 11월 비상,상시 미세먼지 관리 강화대책 수립
2019년 03월 미세먼지 관련 8법 제.개정
2019년 04월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
2019년 11월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2020~2024)

(출처 : 환경부, 대기환경정책 소개 2019.7.4.)

 

2018년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의 일환으로 매연 차량 운행제한을 위한 통합지원시스템을 구축하고 전국의 2,300만 대 차량을 1등급에서 5등급으로 분류하였습니다. 환경부는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2단계가 마무리되는 2024년까지 5등급에 해당하는 247만 대에 대하여 저공해조치를 완료할 계획입니다.

당사는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 사업 시장에서 높은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업계 최초의 새로운 제품들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시장에 출시함으로써, 기술적으로 시장을 선도하였습니다. 또한, 수도권대기개선 1단계 사업 및 2단계 사업에서의 주요 제품인 대형차 복합재생 DPF, PM-NOx 동시저감장치등의 인증을 완료하여, 2단계 운행차 배출가스 저감사업에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 이차전지 소재 사업부문
배터리 시장은 소형 IT기기 및 전동공구에 활용되는 소형 리튬이온전지가 초기 성장을 주도해 왔으나, 최근 전기차 및 에너지 저장장치(ESS)에 활용되는 중대형 전지가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지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배터리 시장은 전기차 시장이 크게 성장함에 따라 동반 성장하는 추세입니다. 기존 전기차는 환경문제와 각국의 강력한 지원 정책으로 성장한 이래 배터리 가격이 낮아지고, 주행거리가 늘어나게 되면서, 내연기관자동차와의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2021년부터 적용되는 파리기후협약에 따라 각국의 CO2배출에 대한 강력한 규제로 인해, 해당 시장의 높은 성장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글로벌 배터리 시장 규모는 지난 2020년 500억 달러를 넘기며 높은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1,600억 달러로 약 3배 이상 확대될 전망입니다. 특히, 중대형 전지인 전기차와 ESS를 중심으로 매년 급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이차전지의 주요 원재료인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등 소재시장은 전기차 및 ESS와 동반 성장하는 특성을 보입니다.

라. 국내외 특허 보유 현황

[등록현황] 

번호 구분 내용 등록일
1 특허 디젤엔진배출가스후처리장치 2001.09.18
2 실용 디젤엔진의 매연 정화장치 2002.05.06
3 특허 디젤엔진 배출가스 저감 촉매 및 장치 2006.05.02
4 특허 검뎅 및 탄화수소 제거용 촉매 및 제조방법 2008.02.22
5 특허 고유황유를 사용하는 엔진에서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및 피엠 제거용 촉매 및 제조방법 2009.02.19
6 특허 고유황유를 사용하는 엔진의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및 피엠 제거용 복합 촉매 2009.06.10
7 특허 피엠 및 탄화수소 제거용 복합촉매 코팅액 및 제조방법 2009.06.17
8 특허 입자상물질, 탄화수소, 일산화탄소 제거용 촉매의 제조방법 및 상기 촉매를 적용한 촉매장치 2009.11.27
9 특허 LPG를 환원제로 사용하는 NOx제거용 SCR촉매 2012.06.11
10 특허 고유황유를 사용하는 엔진에서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및 피엠제거용 촉매 및 제조 방법 2012.07.18
11 특허 사산화삼망간의 제조방법 2012.08.01
12 특허 망간복합산화물의 제조방법 2012.08.01
13 특허 LPG를 환원제로 사용하는 NOx제거용 SCR촉매 2012.08.16
14 특허 차량용 매연저감장치의 노즐 이동형 버너 2012.08.16
15 특허 선박 배기가스 필터용 저온 활성 촉매, 그 제조방법 및 선박용 배기가스 필터 2013.06.12
16 특허 에어 포켓을 갖는 차량용 매연저감장치의 버너 2013.06.20
17 특허 배기가스를 버너의 에어 공급원으로 사용하는 차량용 매연저감장치 2013.06.21
18 특허 니켈―코발트―망간 복합 전구체 제조 방법 2015.08.21
19 특허 쿠에트 테일러 반응기를 이용한 니켈-코발트-망간 복합 전구체의 연속식 제조 방법 2015.10.22
20 특허 이종 금속 산화물이 내부 및 표면에 코팅된 니켈―코발트―망간 복합 전구체의 제조 방법 2018.04.03
21 특허 N2O 생성 억제 질소산화물 저감용 촉매 2018.05.31
22 특허 쿠에트 테일러 반응기를 이용한 니켈-코발트-망간 복합 전구체의 연속식 제조 방법 2018.06.22
23 특허 선박 배가스 정화용 금속필터 2018.10.04
24 특허 니켈―코발트―망간 복합전구체의 이종원소 코팅 방법 2018.10.08
25 특허 고비표면적의 니켈―코발트―망간 복합전구체의 제조 방법 2019.02.14
26 특허 재활용 암모니아를 사용한 니켈―코발트―망간 복합전구체의 제조 방법 2019.09.19
27 특허 재활용 시드를 사용한 니켈―코발트―망간 복합전구체의 제조 방법 2020.01.23
28 특허 니켈―코발트―망간 복합전구체의 세정 장치 및 방법 2020.10.08
29 특허 고밀도 니켈―코발트―망간 복합전구체의 제조 방법 2020.11.18
30 특허 선택적 환원 촉매 및 이를 포함하는 디젤 엔진 후처리 시스템 2021.08.24


[출원현황]

번호 구분 내용 출원일
1 특허 쿠에트 테일러 반응기를 이용한 니켈 코발트 망간 복합 전구체의 연속식 제조 방법 2014.02.14
2 특허 재활용 시드를 사용한 니켈―코발트―망간 복합전구체의 제조 방법 2018.01.10
3 특허 재활용 암모니아를 사용한 니켈―코발트―망간 복합전구체의 제조 방법 2018.01.10
4 특허 니켈―코발트―망간 복합전구체의 세정 방법 2018.12.18
5 특허 고밀도 니켈―코발트―망간 복합전구체의 제조 방법 2018.12.19
6 특허 니켈―코발트―망간 복합전구체의 세정을 통한 밀도 증가 방법 2020.11.24
7 특허 촉매 재생 효율을 향상 시킨 매연 저감 장치 2021.10.22
8 특허 재활용 원료를 활용한 균일한 NCM계 전구체 제조방법 2021.11.15
9 특허 Cu-CHA 제올라이트 촉매 2022.11.01
10 특허 리튬이차전지용 고밀도 니켈-코발트-망간 복합전구체의 제조 방법 2022.11.10
11 특허 연료 착화 유도 기능을 갖는 매연 저감 장치 2022.11.15
12 특허 다단계 제어를 통해 물성이 개선된 니켈-코발트-망간 복합 전구체 제조 방법 2022.11.17

 

에코앤드림 재무제표

재무상태표
제 19 기          2022.12.31 현재
제 18 기          2021.12.31 현재
제 17 기          2020.12.31 현재
(단위 : 원)

 제19 기제 18 기제 17 기

자산      
 유동자산 66,667,484,041 72,857,563,061 57,471,544,770
  현금및현금성자산 20,667,899,631 20,707,477,698 21,804,001,671
  단기금융상품 13,605,300,000 22,605,300,000 15,870,288,404
  매출채권 5,195,927,663 4,336,831,989 4,024,396,562
  기타금융자산 389,320,205 193,733,171 465,836,014
  기타유동자산 2,244,824,558 1,203,863,634 310,153,086
  재고자산 24,416,331,810 23,810,356,569 14,996,815,403
  당기법인세자산 147,880,174   53,630
 비유동자산 70,853,259,505 44,079,161,374 16,016,808,958
  순확정급여자산 164,604,435 69,867,212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5,436,299,764 426,557,752  
  기타비유동금융자산 589,310,640 565,559,730 175,276,730
  기타비유동자산 93,611,944 165,427,836 186,305,278
  관계기업투자 557,657,322 1,089,308,278 1,358,734,255
  종속기업투자 1,760,000,000 1,760,000,000  
  유형자산 57,230,956,644 36,949,703,547 10,594,584,839
  사용권자산 132,189,497 263,227,492 186,147,934
  투자부동산 736,773,047 225,861,830 233,446,068
  무형자산 1,135,053,813 1,147,867,922 1,219,050,918
  이연법인세자산 3,016,802,399 1,415,779,775 2,063,262,936
 자산총계 137,520,743,546 116,936,724,435 73,488,353,728
부채      
 유동부채 29,420,537,555 11,779,825,193 9,625,974,381
  매입채무 911,421,689 1,232,658,409 2,290,895,192
  기타유동금융부채 3,449,607,656 2,358,570,090 2,226,744,123
  미지급세금   365,913,953 1,973,444,244
  기타유동부채 1,859,333,307 2,454,308,349 2,998,709,919
  유동리스부채 86,360,876 148,335,070 86,080,903
  유동성장기부채 1,204,020,000 183,560,000 50,100,000
  유동성전환사채 13,146,345,946    
  유동파생상품부채 8,763,448,081 5,036,479,322  
 비유동부채 28,474,793,352 33,878,571,214 2,705,848,563
  장기차입금 27,362,320,000 10,566,340,000 749,900,000
  기타비유동금융부채 269,467,131 217,624,402 245,428,528
  기타비유동부채 793,112,452 1,430,718,088 1,485,606,259
  비유동리스부채 49,893,769 118,664,992 101,940,099
  전환사채   15,255,200,335  
  순확정급여부채     122,973,677
  비유동파생상품부채   6,290,023,397  
 부채총계 57,895,330,907 45,658,396,407 12,331,822,944
자본      
 자본금 5,304,318,000 5,160,191,500 5,160,191,500
 자본잉여금 56,230,888,357 48,524,830,515 48,524,830,515
 기타자본항목 (223,105,412) (240,347,912) (309,317,912)
 기타포괄손익누계액 159,366,398 88,029,202 (18,710,990)
 이익잉여금(결손금) 18,153,945,296 17,745,624,723 7,799,537,671
 자본총계 79,625,412,639 71,278,328,028 61,156,530,784
자본과부채총계 137,520,743,546 116,936,724,435 73,488,353,728

 

포괄손익계산서
제 19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제 18 기 2021.01.01 부터 2021.12.31 까지
제 17 기 2020.01.01 부터 2020.12.31 까지
(단위 : 원)

 제 19 기제 18 기제 17 기

매출액 56,953,120,926 77,437,483,598 92,319,592,450
매출원가 47,715,865,026 60,490,823,595 60,548,831,600
매출총이익 9,237,255,900 16,946,660,003 31,770,760,850
판매비와관리비 6,999,634,969 9,042,040,891 15,384,425,866
영업이익(손실) 2,237,620,931 7,904,619,112 16,386,334,984
기타수익 224,685,727 203,734,284 154,040,323
기타비용 203,922,226 511,411,970 100,224,090
금융수익 2,310,342,385 5,972,234,076 80,642,072
금융비용 4,991,846,694 2,093,578,142 9,185,208,012
지분법손익 (578,159,403) (406,272,376) (289,159,412)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1,001,279,280) 11,069,324,984 7,046,425,865
법인세비용 (1,497,467,383) 1,119,379,572 3,483,647,323
당기순이익(손실) 496,188,103 9,949,945,412 3,562,778,542
연결기타포괄손익 (16,530,334) 102,881,832 (273,993,556)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항목 (87,867,530) (3,858,360) (235,054,994)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87,867,530) (3,858,360) (235,054,994)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 71,337,196 106,740,192 (38,938,562)
  관계기업 등의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지분해당액 71,337,196 106,740,192 (38,840,978)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97,584)
총포괄손익 479,657,769 10,052,827,244 3,288,784,986
주당이익      
 기본주당이익 (단위 : 원) 49 986 409
 희석주당이익 (단위 : 원) 49 679 409

 

자본변동표
제 19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제 18 기 2021.01.01 부터 2021.12.31 까지
제 17 기 2020.01.01 부터 2020.12.31 까지
(단위 : 원)

 자본자본금자본잉여금기타 자본기타 포괄손익누계액이익잉여금자본  합계

2020.01.01 (기초자본) 3,334,705,000 3,020,755,359 (361,045,412) 20,227,572 4,471,814,123 10,486,456,642
당기순이익(손실)         3,562,778,542 3,562,778,54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97,584)   (97,584)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235,054,994) (235,054,994)
지분법자본변동       (38,840,978)   (38,840,978)
지분의 발행 1,228,500,000 33,239,149,200       34,467,649,200
전환사채의 전환 483,541,500 12,378,370,956       12,861,912,456
전환우선주의 전환 113,445,000 (113,445,000)        
주식기준보상거래     51,727,500     51,727,500
2020.12.31 (기말자본) 5,160,191,500 48,524,830,515 (309,317,912) (18,710,990) 7,799,537,671 61,156,530,784
2021.01.01 (기초자본) 5,160,191,500 48,524,830,515 (309,317,912) (18,710,990) 7,799,537,671 61,156,530,784
당기순이익(손실)         9,949,945,412 9,949,945,41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3,858,360) (3,858,360)
지분법자본변동       106,740,192   106,740,192
지분의 발행            
전환사채의 전환            
전환우선주의 전환            
주식기준보상거래     68,970,000     68,970,000
2021.12.31 (기말자본) 5,160,191,500 48,524,830,515 (240,347,912) 88,029,202 17,745,624,723 71,278,328,028
2022.01.01 (기초자본) 5,160,191,500 48,524,830,515 (240,347,912) 88,029,202 17,745,624,723 71,278,328,028
당기순이익(손실)         496,188,103 496,188,103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87,867,530) (87,867,530)
지분법자본변동       71,337,196   71,337,196
지분의 발행            
전환사채의 전환 144,126,500 7,706,057,842       7,850,184,342
전환우선주의 전환            
주식기준보상거래     17,242,500     17,242,500
2022.12.31 (기말자본) 5,304,318,000 56,230,888,357 (223,105,412) 159,366,398 18,153,945,296 79,625,412,639

 

현금흐름표
제 19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제 18 기 2021.01.01 부터 2021.12.31 까지
제 17 기 2020.01.01 부터 2020.12.31 까지
(단위 : 원)

 제19 기제 18 기제 17 기

영업활동현금흐름 630,841,866 (4,389,066,084) 17,424,905,559
 당기순이익(손실) 496,188,103 9,949,945,412 3,562,778,542
 조정 3,843,896,435 (589,079,208) 14,706,396,057
 자산ㆍ부채의변동 (3,536,491,510) (11,803,028,721) (268,620,985)
 법인세환급(납부) (567,737,470) (2,108,391,024) (8,672,900)
 이자지급 (477,527,734) (184,908,177) (623,770,955)
 이자수취 712,435,868 346,395,634 56,795,800
 배당금수취 160,078,174    
투자활동현금흐름 (18,247,680,593) (36,500,640,663) (18,836,266,219)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79,988,516,031 39,416,901,386 11,372,000,000
 장기금융상품의 감소     70,149,739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감소     11,573,871
 유형자산의 처분 2,727,273 2,090,909 37,818,181
 기타비유동금융자산의 감소 25,300,000 44,540,000  
 정부보조금의 수령 80,385,035 36,612,000 154,158,394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70,988,516,031) (46,105,300,000) (26,860,000,000)
 장기금융상품의 증가     (5,782,65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증가     (11,460,00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증가 (5,099,800,000) (450,000,000)  
 국공채의 취득   (412,340,000)  
 유형자산의 취득 (22,015,498,241) (27,184,008,968) (2,797,159,637)
 무형자산의 취득 (162,889,870) (68,652,990) (757,166,097)
 투자부동산의 취득 (28,853,880)    
 종속기업에 대한 투자자산의 취득   (1,760,000,000)  
 기타비유동금융자산의 증가 (49,050,910) (20,483,000) (50,398,020)
재무활동현금흐름 17,683,809,033 39,784,821,570 17,569,488,790
 단기차입금의 증가     6,280,944,419
 전환사채의 증가   29,996,877,760  
 장기차입금의 증가 18,000,000,000 10,000,000,000 500,000,000
 임대보증금의 증가 17,000,000    
 지분의 발행     34,467,649,200
 단기차입금의 감소     (22,252,522,158)
 유동성장기부채의 상환 (183,560,000) (50,100,000) (95,000,000)
 장기차입금의 감소     (1,200,000,000)
 리스부채의 감소 (149,630,967) (161,956,190) (131,582,671)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66,970,306 (1,104,885,177) 16,158,128,130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20,707,477,698 21,804,001,671 5,650,684,290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대한 환율변동효과 (106,548,373) 8,361,204 (4,810,749)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20,667,899,631 20,707,477,698 21,804,001,671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