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건축법 (6)
marvelous home

설계변경 업무지침 설계변경이라 함은 공사 시행 중에 예상치 못한 상황의 발생이나 공사 물량의 증감, 계획 변경 등으로 당초 설계한 내용을 변경시키는 것으로 설계변경으로 공사량 증감에 대해 계약 금액을 조정 설계변경은 당초 계약의 목적 및 본질을 변경할 만큼의 변경이어서는 안 됨 설계, 시공 일괄 입찰 방식(Turn key방식)에 의한 대형공사 계약에 있어 설계도면 및 시 공을 계약자가 하므로 정부 측의 귀책사유 및 천재지변이 있는 경우에만 가능 - 설계도서와 현지여건이 상이한 부분에 대한 내용 파악(현지 여건 조사) - 시공자가 제출한 실정보고 내용의 적정성 검토 - 발주청에 설계변경을 위한 공사 실정보고 제출 건설사업관리기술인은 시공자로부터 현장 실정 보고를 접수 후 기술 검토 등을 요하지 않는 단순한..

일조 확보를 위한 건축법 전용주거지역 일반주거지역 안에서 인접대지경계선으로부터 정북방향으로 띄우는 거리 전용주거지역 또는 일반주거지역 안에서 건축물을 건축하는 경우 건축물의 각 부분을 정북방향으로의 인접대지경계선으로부터 다음의 범위 안에서 건축조례가 정하는 거리 이상을 띄어 건축하여야 한다 높이 9m 이하인 부분 : 인접대지 경계선으로부터 1.5m 이상 띄어 건축 높이 9m 초과하는 건축물 : 인접대지경계선으로부터 해당 건축물의 각 부분 높이의 1/2 이상 띄어 건축 일조 관련 상세한 건축법 전용주거지역과 일반주거지역 안에서 건축하는 건축물의 높이는 일조 등의 확보를 위하여 정북방향(正北方向)의 인접 대지경계선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높이 이하로 하여야 한다. ② 다음 각 호의 어느 하..

치수 계획 물리적 공간과 그 치수 : 인체 측정학 최소치 +a : 문이나 개구부의 높이, 천장 높이, 인동간격 등을 설정할 때 사용 최대치 -a : 계단의 챌판 높이, 야구장 관중석의 난간 높이 등 설정할 때 사용 목표치 +_ a: 출입문의 손잡이 위치와 크기 등을 설정할 때 사용 ※챌판 : 계단 구조에서 단)step의 수직요소, 여닫이 문의 밑막이면에서 붙여서 문짝에 발이 차여 상하는 것을 보호하는 금속판, 계단의 디딤판 밑에 새로 막아낸 널, 장식용 프로세믹스 (심리적 공간과 그 치수 ) 개인공간 : 친근거리, 개인거리, 사회적 거리, 공적거리 프라이버시 : 프라이버시의 적정화 영역성 : 1차영역, 2차 영역, 공적 영역 등 과밀 모듈 구성재의 크기를 정하기 위한 치수의 조직으로 건축의 계획상, 생산..

가설흙막이 신공법 IPS (Inovatice Prestressed support) 간선긴장 띠장 공법 H-Beam 받침대, 띠장과 강선으로 구성된 시스템을 흙막이 벽체에 거치하고 강선에 긴장력을 가하여 굴착으로 인한 토압을 지지하는 공법 기존 strut(버팀보)를 사용하지 않고 ips띠장을 설치 후 ps강선을 긴장시켜 흙막이 벽 지지 ips가시설 공법은 강선을 이용한 가시설공법으로서 버팀보의 간격을 최대 40-50m로 기존보다 20배까지 늘릴 수 있으며 버팀보의 설치수를 대폭 줄임으로써 보다 넓은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특징- 대수의 버팀대로 인한 작업공간 침해방지 , 굴착장비 작업공간 확보로 작업 효율성 향상, 사용 강재회수율이 높아 경제적, 공기단축 및 안전성 증대, 재래식 공법대비 강재량 및 ..

가설흙막이 지지방식과 벽체 엄지말뚝가로 널 일정한 간격으로 H-pile(엄지 말뚝, 어미 말뚝)을 설치하고, 지보단별로 굴착해 내려가면서 H-pile 사이에 가로널을 설치하여 흙막이 벽을 형성 수직으로 설치한 엄지말뚝에 굴착의 진행에 따라 가로널말뚝을 흙막이 벽으로 하여 굴착을 진행 엄지 말뚝(H-형강) + 목재 토류판 + 철근 콘크리트 토류벽 + 강재 토류판(철판 같은 것) 목재는 여름철 건조, 수축이 일어나면서 빠지는 수도 있다. 시방서에 4cm 이상 엄지말뚝에 겹치도록 한다라고 적혀 있을 것 장점 단점 공사비가저렴함 특별한 기술 적용X 굴토 중 취약부는 토류판 두께로 보강가능 개수성 공법으로 수압이 작용하지 않음 비교적 단단한 지반과 호박돌층에도 시공 가능 배면부 토사의 이완으로 인접구조물의 피해우..

도심지 건설현장 도심지공사는 토지가 상승, 주차장 확보, 지하공간 활동 등의 이유로 지하층 공사가 수반되며 이를 위한 굴착공사 시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 할 수 있음 발생되는 문제점으로 도류벽 변위, 지하수유출로 인한 지반침하, 소음 및 진동으로 인한 민원, 진동으로 인한 인접구조물 피해, 지하수 유출로 인한 지반침하 및 토사 유출, 침하로 인한 주변 지중매설물 변형 등이 있음 도심지 지반굴착 전 사전조사로 주변 구조물 안전점검을 해야하며 지반조사(인접대지 또한 지반조사에 포함하여 굴착 시 영향 검토) 주변매립 구조물 조사(도시가스,고압선,통신선 등 매립구조물 위치 참고) 해야 함. 대책으로 철저한 계측관리로 이상징후 포착시 작업 중지하고 원인을 파악해야 하며 굴착장비에 소음방지기를 부착하고 방음벽 및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