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velous home

포스코퓨처엠에 대하여 포스코케미칼 사명변경, 사업보고서 본문

기업

포스코퓨처엠에 대하여 포스코케미칼 사명변경, 사업보고서

고고빅샷 2023. 4. 15. 22:26

포스코퓨처엠이란 

포스코케미칼이 포스코퓨처엠으로 사명을 변경했습니다. 경쟁력 있는 소재를 통해 세상의 변화 movement, 풍요로운 미래 future, 을 만들어내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 management 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제까지 철강 사업을 통해 국가경제 발전의 버팀목이 된 포스코그룹이 지주사 출범과 함께 친환경 미래소재 대표기업으로 대전환을 추진하며 포스코퓨처엠이 핵심사업회사로 포스코그룹의 새로운 미래 변화를 선도한다는 것입니다

자원빈국인 우리나라에 포스코그룹이 제철보국의 정신으로 국가의 경제 발전에 기여한 것처럼 이제는 포스코퓨처엠으로 배터리 소재는 물론 미래 국가가 필요로 하는 최고 품질의 소재를 공급하여 국가 경제 발전을 견인한다는 다짐이 담겨 있습니다

포스코퓨처엠(포스코케미칼)은 국내 유일의 흑연계 음극재 회사이자 45,000톤/년(2022년)의 Hi-Ni계 양극재 생산 capa를 보유한 국내 유일 음/양극재 소재를 동시 생산 및 납품하는 이차전지 소재사입니다. 포스코케미칼은 1963년 1월 염기성내화물을 생산, 판매 목적으로 설립된 삼화화성(주)와 1971년 5월 각종 산업로 보수 및 축로 시공을 목적으로 설립된 포항축로(주)가 1994년 12월 1일부 합병하여 포철로재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여 내화물 제조에서 시공까지 일관체제를 갖춘 종합노재회사로서 발판을 마련하였고, 2008년 제철소 석회소성설비 위탁운영, 2010~2011년 제철소 화성공장위탁운영 및 화성품 판매사업을 실시하며 외형성장을 이루었습니다.

이후 2010년 LS Mtron 음극재 사업부문을 인수합병 하며 음극재사업을 시작하여, 2011년 음극재 세종 공장 준공(1호기, 600톤), 2013년 음극재 공장 1차 증설(2호기, 1,200톤)을 거쳐 2019년 음극재 세종 2-1 공장 준공(20,000톤)까지 총 44,000톤의 capa를 보유하고 있으며, 천연흑연 음극재 제품부터 인조흑연, 실리콘 음극재까지 다양한 기술을 보유, 개발하고 있습니다.

양극재 사업부문은 2019년 포스코ESM 인수를 통해 양극재사업에 진출하여 광양 1,2 단계 준공(30,000톤) 및 광양 3,4 단계 증설(58,000톤/~2022년 준공)을 진행하고 있으며 고용량 Hi-Ni계 NCM을 양산, 최근 NCMA, 전고체 전지용 양극재, Co-free NMx 등 빠르게 변화하는 전기차 시장에 발맞춰 기술개발 및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는 사업부입니다.

매출액 별로는 당기말 기준, 내화물부문 16.7%, 라임화성부문 24.6%, 에너지소재부문 58.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각 부문의 주요 거래처는 내화물부문은 (주)포스코 등, 라임화성부문은 (주)포스코, OCI(주) 등, 에너지소재부문은 이차전지 배터리사인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이며, 2022년 당기 누적 매출액 기여도 순 주요 매출처는 LG에너지솔루션(51.7%), 포스코(25.8%), OCI(5.4%), 피엠씨텍(現 포스코MC머티리얼즈)(3.7%) 등 입니다. 구매처로부터 직접 또는 대리점을 통하여 수주하며, 정비작업 및 건설공사는 발주처를 직접 접촉하여 견적서를 제출한 후 수의계약 또는 견적 입찰을 통하여 수주하고 있습니다.

최근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전기차 보급, 신재생에너지의 효율적 저장이 가능한 에너지 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 등이 각국 정부의 보조금 지원 등 정책 및 규제에 힘입어 전 세계적으로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이차전지는 4차 산업의 주요 소재로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이차전지 사업은 IT기기의 성장과 친환경, 각국의 에너지절감 정책에 따른 EV, ESS시장의 확대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특히, 전기차용 이차전지 시장은 중국의 강력한 전기차 산업 육성 정책, 유럽의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와 글로벌 OEM 업체들의 전기차 모델 비중확대 추세 속에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회사는 생산량 증대와 기술 강화 및 매출처 다변화로 시장상황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구분 주요 재화 또는 용역 주요 고객
기초소재사업 내화물사업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노재 정비 (주)포스코 등
라임화성사업 생석회 제조, 화성공장 위탁운영
및 화성품 판매
(주)포스코, OCI(주) 등
에너지소재사업 양극재, 음극재 제조 및 판매 LG에너지솔루션 등

포스코퓨처엠의 사업분야

 

이차전지는 리튬(Li) 이온이 양극(+)과 음극(-) 사이를 이동하면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충전을 통해 여러 차례 재사용이 가능하여 전기차(EV)를 비롯한 친환경 모빌리티, IT기기와 다양한 생활가전의 에너지원으로 쓰입니다.

이차전지는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의 4대 요소로 이루어지며, 포스코퓨처엠은 가장 중요한 핵심소재인 양극재와 음극재를 생산해 글로벌 시장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포스코퓨처엠은 국내 유일 양•음극재 동시생산 및 연구역량을 바탕으로 양산능력 확대, 원료 밸류체인 완성, 차세대 소재 R&D를 통해 글로벌 시장 톱티어로 성장해 나가고자 합니다.

양극재

양극재는 배터리의 (+) 극, 즉 양극을 이루는 소재를 말하며 리튬이온배터리에서 리튬소스 역할을 하는 에너지원으로 용량과 평균 전압을 결정합니다.
포스코퓨처엠은 전기차에 주로 사용되는 하이니켈 NCM(니켈, 코발트, 망간) 양극재를 생산하고 있으며 여기에 알루미늄을 더해 열안정성을 높인 NCMA 양극재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포스코퓨처엠은 전기차 시장의 성장에 따라 글로벌 양산능력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며 2030년까지 양극재 생산능력을 글로벌 톱티어 수준인 연 40만 톤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음극재

리튬이온을 저장했다가 방출하면서 외부회로를 통해 전류를 흐르게 하는 역할을 하며 이차전지의 충전 속도와 수명을 결정합니다.
포스코퓨처엠은 천연흑연 및 저 팽창 음극재를 개발하여 공급하고 있으며, 인조흑연과 실리콘계, 리튬메탈 등의 차세대 소재를 개발함으로써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포스코퓨처엠이 생산하는 음극재는 반복적인 충전과 방전 과정에서도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는 우수한 성능을 발휘합니다. 이러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2030년까지 연 26만 톤의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시장을 선도해 나가고자 합니다.

전구체
니켈(Ni), 코발트(Co), 망간(Mn), 알루미늄(Al) 등의 다양한 메탈로 구성되는 양극재의 전(前) 물질로 이차전지의 특성을 결정하며 리튬과 결합하여 양극재가 완성됩니다.

원료별 비중에 따라 가격과 특성이 다양해지는만큼 최적의 조합을 위한 구성을 연구하고 있으며, 포스코퓨처엠은 안정적인 소재 생산을 위해 전구체 내재화율을 지속적으로 높여갈 계획입니다.

 

 

탄소소재원료

 
COG와 탄소기반 부산물에서 고순도 화학원료를 분리하여 콜타르, 조경유 등을 생산해 이차전지 음극재, 침상코크스 등의 첨단소재의 원료로 공급합니다.
원료 확보, 생산성, 품질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 개발과 투자를 지속하며 산업 발전을 이끌어 나가고 있습니다.

탄소소재 제품

콜타르를 가공해 생산하는 침상코크스와 피치코크스는 인조흑연 음극재, 전극봉, 등방흑연블록 등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중간핵심소재로 활용됩니다. 포스코퓨처엠은 자회사인 포스코MC머티리얼즈를 통해 침상코크스와 피치코크스를 국산화했습니다.
또한 산업과 우리 생활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대기, 수질용)을 제거하고 이차전지의 보완재로 활용되는 활성탄소의 생산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포스코퓨처엠은 전기차 시장의 산업 급성장 등의 수요확대를 전망하며 핵심원료의 안정적 공급 체제를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과산화수소

과산화수소는 소독제로도 사용되는 대표적인 산화제로 토양복원 및 폐수처리 산업에도 폭넓게 사용 가능한 친환경성이 강점입니다.
포스코퓨처엠과 OCI의 합작회사인 피앤오케미칼이 국내 최초로 제철공정의 COG에서 추출한 부생수소를 원료로 과산화수소를 생산하며, 고순도 과산화수소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태양광 산업에서 식각* 및 세척 용도로 사용되어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합니다.

*식각 : 소재 표면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부식시켜 제거함으로써 원하는 모양을 얻는 표면가공법

내화물

고온에서도 화학적 성질과 강도를 유지하는 내화물은 제철소의 용광로, 석유화학 플랜트와 같은 산업설비의 기초소재로 모든 산업의 바탕이 됩니다.

포스코퓨처엠은 세계 최고 품질의 철을 제조하는 포스코의 50년 파트너로서 내화물 제조와 엔지니어링 시공에 이르기까지 고객을 위한 맞춤형 토탈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생석회

석회석을 고온에서 가공(소성)한 생석회(burned lime, 라임)는 제철 공정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반응도를 높이는 부원료로 활용되어 철강 제품의 품질과 생산성을 좌우합니다.
포스코퓨처엠은 다양한 소성설비를 활용해 제선, 제강 등 용도에 맞춘 고품질 생석회를 생산하여 국내 최대 규모인 연간 240만 톤을 포항과 광양 제철소에 공급합니다.

 

 

 

주요 제품 및 매출액

사업부문 품 목 구체적용도 2022년 (제52기) 2021년 (제51기) 2020년 (제50기)
매출액 비율(%) 매출액 비율(%) 매출액 비율(%)
기초소재사업 내화물사업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노재 정비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노재 정비
551,657 16.7 462,518 23.3 452,824 28.9
라임화성사업 생석회, 화성품 가공 및 판매,
화성공장 위탁 운영
생석회, 화성품 가공 및 판매,
화성공장 위탁 운영
811,988 24.6 675,258 33.9 580,146 37.0
에너지소재사업 양극재, 음극재  배터리 소재 1,938,271 58.7 851,766 42.8 533,266 34.1
합 계 - - 3,301,916 100.0 1,989,542 100.0 1,566,236 100.0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  (단위 : 원/톤) 
                                                                            

품 목 제52기 연간 제51기 연간 제50기 연간
내화물 1,022,158 913,164 964,689
생석회 117,225 104,272 105,755

* 에너지소재부문 재료 가격변동추이는 정보유출 우려 등을 감안하여 미표기

(1) 산출기준
ㅇ 산출대상 및 선정방법: 내화물 매출(신내화제품 제외) 단가, 생석회 매출단가
ㅇ 산출단위 및 산출방법: 해당제품의 운임을 포함한 대상기간 매출액 기준 평균가격

(2) 주요 가격변동원인
ㅇ 내화물은 전방산업의 업황 및 원재료비 등을 고려하여 판매가격 변동
ㅇ 생석회는 유틸리티 단가, 원료비등을 고려하여 판매가격이 결정되며, 가격변동폭이 크지 않음
ㅇ 에너지소재 원재료는 국제 광물자원 수급에 따라 가격 변동

 

원재료 및 생산설비

가.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                (단위 : 천 원, %)                                                                                                                                                               

사업부문 매입유형 품 목 구체적용도 매입액 비율 비 고
기초소재 내화물 원재료 기타 제품제조 95,732,677 4.9 -
생석회 원재료 석회석 제품제조 98,284,477 5.1 -
에너지소재 음극재 원재료 흑연 外 제품제조 137,912,517 7.1 -
양극재 원재료 NCM 外 제품제조 1,614,403,553 82.9 -
- - 1,946,333,224 100.0 -


나. 주요 원재료 등의 가격변동추이    (단위 : 원/톤)

                                                                                              

품 목 제52기 연간 제51기 연간 제50기 연간
내화물 478,770 319,723 294,227
생석회 22,271 19,484 19,410


(1) 산출기준
ㅇ 단가는 입고금액 기준
(2) 주요 가격변동 원인
ㅇ 내화물 원료의 경우 중국의 원부원료 가격인상 및 구성비 차이
ㅇ 석회석의 경우 석회석 원재료비의 변동은 미미한 편이며, 운임단가에 따라 소폭 변동
ㅇ 에너지소재부문 재료 가격변동추이는 정보유출 우려 등을 감안하여 미표기

다. 생산능력 및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1) 생산능력                                                                                 (단위 : 톤)

사업부문 품 목 사업소 제 52기 연간 제 51기 연간 제 50기 연간
내화물 연와, 부정형 등 포항 116,560 113,000 115,000
LIME 생석회 포항 1,095,000 1,095,000 1,098,000
광양 1,095,000 1,095,000 1,098,000
합 계 2,306,560 2,303,000 2,311,000

※ 에너지소재부문의 경우 기술, 정보유출 우려 등을 감안, 상세 표기 생략

(2)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가) 산출방법 등

ㅇ 소성공장 : 소성로 생산능력 기준

구 분 B-1,2
소성로 보유수(기) 1 1
생산능력(톤/년) 15,000 15,000

 

ㅇ 불소성공장 : Press 생산능력 기준

구 분 B-6 B-7
Press 보유수(기) 4 4 8
생산능력(톤/년) 27,720 21,840 49,560 


ㅇ 부정형공장 : 혼련 및 포장 능력(분쇄 능력 고려) 기준

구 분 U-2 B-4
Mixer 및 분쇄기 보유수(기) 2 2 4
생산능력(톤/년) 42,000 10,000 52,000

 

ㅇ 생석회공장

* 생석회 생산능력 : 설비 Cap' 기준 (단위 : 톤/년)

 

구 분 Shaft Kiln Rotary Kiln
Becken Bach Maerz
포항 kiln 보유수 (기) 2 6 2 10
생산능력 219,000 657,000 219,000 1,095,000
광양 kiln 보유수 (기) - 5 4 9
생산능력 - 547,500  547,500  1,095,000 

* 생석회 생산능력 : 설비 Cap' 기준 년간 생산능력을 표기하였습니다.
- 포항 : 3,000톤/일 (10기) (Kiln 모두 생산능력 300톤/일)
- 광양 : 3,000톤/일 (9기) (Shaft Kiln 생산능력 300톤/일,
                                   Rotary Kiln 생산능력 375톤/일)

 



라. 생산실적 및 가동률

(1) 생산실적                                                                                   (단위 : 톤)

사업부문 품 목 사업소 제52기 연간 제51기 연간 제50기 연간
내화물 연와, 부정형 등 포항 81,094 83,884 80,587
LIME 생석회 포항 1,043,109 1,151,419 1,101,589
광양 1,176,611 1,295,720 1,243,402
합 계 2,300,814 2,531,023 2,425,578

※ 화성공장은 POSCO 설비에 대한 단순 위탁운영임에 따라 생산 실적 생략
※ 에너지소재부문의 경우 기술, 정보유출 우려 등을 감안, 상세 표기 생략

(2) 당기 가동률                                                                      
                                                                                                   (단위 : 톤, %)

 

사업소(사업부문) 생산능력 생산실적 평균가동률
내화물공장 116,560 81,094 70
생석회공장(포항) 1,095,000 1,043,109 95
생석회공장(광양) 1,095,000 1,176,611 107
합 계 2,306,560 2,300,814 -

※ 화성공장은 POSCO 설비에 대한 단순 위탁운영임에 따라 생산능력, 생산실적,
   평균가동률 생략
※ 에너지소재부문의 경우 기술, 정보유출 우려 등을 감안, 상세 표기 생략


(1) 진행 중인 투자                                                                             (단위 : 억 원)

 

사업부문 회사명 구분 투자기간 투자대상  자산 투자효과 총투자액 기투자액 향후투자액
이차전지소재 (주)포스코케미칼 신/증설 2020-07~2024-01 양극재광양공장 3단계 생산 Line up 확대 2,895 2,454 441
이차전지소재 (주)포스코케미칼 신/증설 2020-11~2023-03 양극재광양공장 4단계 생산 Line up 확대 2,758 2,274 484
이차전지소재 (주)포스코케미칼 신/증설 2021-12~2024-06 양극재포항공장 생산 Line up 확대 3,303 989 2,314
이차전지소재 (주)포스코케미칼 신/증설 2019-11~2023-04 음극재 2공장_2단계 생산 Line up 확대 생산 Line up 확대 2,711 2,226 485
이차전지소재 (주)포스코케미칼 신/증설 2020-02~2025-06 인조흑연음극재 신설 생산 Line up 확대 3,458 1,459 1,999
이차전지소재 (주)포스코케미칼 신/증설 2022-07~2024-05 광양 전구체 2단계 증설 생산 Line up 확대 3,262 121 3,141
내화물 제조 (주)포스코케미칼 신/증설 2020-10~2023-02 포항 내화물 소성공장 노후설비 합리화 노후 개선  348 135 213


(2) 향후 투자계획                                                                             (단위 : 억 원)

 

사업부문 회사명 구분 예상투자총액 연도별 예상투자액 투자효과
자산형태 금액 2023년 2024년 2025년  
이차전지소재 (주)포스코케미칼 신/증설 고정자산 441 441     양극재광양공장 3단계
이차전지소재 (주)포스코케미칼 신/증설 고정자산 484 484     양극재광양공장 4단계
이차전지소재 (주)포스코케미칼 신/증설 고정자산 2,314 2,071 243   양극재포항공장
이차전지소재 (주)포스코케미칼 신/증설 고정자산 485 485     음극재 2공장_2단계 생산 Line up 확대
이차전지소재 (주)포스코케미칼 신/증설 고정자산 1,999 1,322 656 21 인조흑연음극재 공장 신설
이차전지소재 (주)포스코케미칼 신/증설 고정자산 3,141 2,283 858   광양 전구체 2단계
내화물 제조 (주)포스코케미칼 신/증설 고정자산 213 213     포항 내화물 소성공장 노후설비 합리화

 

포스코퓨처엠의 매출

가. 매출에 관한 사항

- 매출실적  
                                                                                                 (단위 : 백만 원) 

사업부문 매출유형 품 목 2022년 (제52기)매출액 2021년 (제51기)매출액 2020년 (제50기)매출액
기초소재사업 내화물사업 상품, 제품, 용역,
기타매출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노재 정비
수출 35,508 43,084 36,279
내수 516,149 419,434 416,545
합계 551,657 462,518 452,824
라임화성사업 생석회, 화성품 가공 및 판매,
화성공장 위탁 운영
수출 35,316 38,070 31,337
내수 776,672 637,188 548,809
합계 811,988 675,258 580,146
에너지소재사업 양극재, 음극재 수출 1,778,364 728,309 394,861
내수 159,907 123,457  138,405
합계 1,938,271 851,766 533,266
합 계 수출 1,849,188 809,463 462,476
내수 1,452,728 1,180,079  1,103,760
합계 3,301,916 1,989,542 1,566,236

 

나.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1) 판매조직

광양사업실 광양조업지원섹션, 포항사업실 포항조업지원섹션, 글로벌노재사업실 플랜트마케팅그룹, 글로벌노재사업실 글로벌마케팅그룹, 에너지소재마케팅실 국내마케팅그룹, 에너지소재마케팅실 해외마케팅1그룹, 에너지소재마케팅실 해외마케팅2그룹

(2) 판매경로

직판매, 직수출, 대리점 - End User

(3) 판매방법 및 조건

제품판매의 경우에는 구매처로부터 직접 또는 대리점을 통하여 수주하며, 정비작업 및 건설공사는 발주처를 직접 접촉하여 견적서를 제출한 후 수의계약 또는 견적 입찰을 통하여 수주하고 있습니다. 판매조건에 있어서 주요거래처인 포스코의 경우 세금계산서 발행후 1주일내 현금 50%와 전자구매카드 50%로 수령하고 있습니다. 


(4) 판매전략

- 신기술 및 신제품 개발에 의한 신규 수요창출로 고객만족 강화
- 해외설비투자를 통한 가격경쟁력 확보로 시장 점유율 증대
- 로보수 부분의 독점적 기술능력의 지속적 유지

(5) 주요매출처
2022년 당기 누적 매출액(별도) 기여도 순 주요 매출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51.7%), 포스코(25.8%), OCI(5.4%), 피엠씨텍(現 포스코MC머티리얼즈)(3.7%) 등

다. 수주상황
당기말 현재, 포스코케미칼의 수주잔고 1억원 이상인 계약의 수주잔고 총액은 약 90,195백만원입니다. (단위 : 백만원)

품목 수주일자 납기 수주총액 기납품액 수주잔고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수량 금액
두산메카텍 NLNG Molecular Sieve Vessel 내화물 공사 2021-08-03 2022-10-14 -          188  - 0 - 188
GS EPS 22년 바이오매스 내화재 보수 단가작업 2022-01-01 2022-12-31 -        1,664  - 1,334 - 330
큐로 Chiyoda NFE Sulfur Condenser 내화물 공사 2022-01-25 2025-04-15 -          490  - 0 - 490
GS칼텍스 NO.1 RFCC 1RG Cyclone 내화물 공사  2022-03-18 2022-12-19 -          880  - 0 - 880
인도네시아 발리파판 현지 내화물 공사(자재 및 시공장비)  2022-05-13 2023-05-31 -        2,604  - 0 - 2,604
마포자원회수시설 22년 소각로 내화물 교체공사 2022-04-29 2022-11-15 -        2,057  - 1,057 - 1,000
GS칼텍스 No.1 RFCC Expansion Joint 3기 내화물 작업 2022-08-30 2022-12-31 -          350  - 3 - 347
GS칼텍스 No.1 RFCC Lift Riser 내화물 작업 2022-10-27 2023-02-28 -          230  - 0 - 230
SNNC 23년 로타리킬른 대수리 내화물 공사 2022-12-01 2023-03-31 -        6,949  - 0 - 6,949
GS칼텍스 23년 No.1 RFCC TA 내화물 보수 및 Coke 제거 2022-12-01 2023-06-30 -        5,537  - 1,120 - 4,417
LSMNM 제련2 연속로 축로공사 2022-12-12 2023-06-20 -        2,040  - 612 - 1,428
피엠씨텍 23년 내화물 연간 정비작업 2022-11-01 2023-10-31 -          617  - 51 - 566
SK어드밴스드 Catofin Reactor 내화물 보수 2022-12-02 2023-12-29 -        1,750  - 0 - 1,750
포항 6기 코크스 본체(내자) 내화물 공급 2020-11-11 2023-10-31 -       14,175  - 7,284 - 6,891
포항 6기 코크스 신설 CDQ설비 Refractories 2021-05-31 2023-02-14 -        2,246  - 455 - 1,791
포항 #6 Coke Oven 본체_시공 2021-11-23 2023-12-31 -       46,400  - 9,141 - 37,259
포항 도금공장 CGL DFF Burner Panel 개체 2022-01-28 2023-12-31          1,127    451   676
포항 6기 코크스 화성 COR 축로공사 2022-03-23 2023-08-31 -          369  - 0 - 369
광양 전기강판 능력증대 투자사업 내화물 공사 2022-10-06 2023-06-30 -        5,140  - 0 - 5,140
포항 2열연 가열로 긴급복구 축로공사 2022-09-14 2023-02-28         20,194    7,800   12,394
포항 구내 TLC 영차 성능복원 발파 및 축로 공사 2022-09-23 2023-10-31 -    2,068  - 1,241 - 827
포항 1전강 2COF 내화물 긴급복구 축로공사 2022-10-04 2023-03-31 -        6,085  - 5,470 - 615
(포항)도금 CGL_Zn Pot 내 고착물 소출공사_공사 2022-10-09 2023-09-30          6,103    3,051   3,052
합계 - - -  129,264  - 39,069 - 90,195


당사의 에너지소재 부문은 주로 거래처와 중장기 공급계약 체결후 납품하고 있으나, 공급물량 등이 고객의 실제주문 및 향후 시장상황에 따라 유동적이며, 대내외적 경제변화와 그에 따른 수요변화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습니다.

 

연구개발 실적


▶ 2022년도
- Gen.3 EV용 Ni 86% NCMA 양극소재 개발

- Gen.3 EV용 Ni 86% 단결정 양극소재 개발

- xEV용 고출력 미립 천연흑연 음극재 개발

- 석탄원료 기반 활성탄 제조기술 연구

▶ 2021년도
- Gen3 EV용 Ni 87% NCMA 개발
- Premium Gen3 EV용 Ni 87% NCMA 개발
- EV 원통형전지용 급속충전 향상 저팽창 천연흑연 개발
-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환경 친화 불소성 MgO-C 내화물 연구
- 인조흑연 전극봉 제조 공정 기술 연구
- 슈퍼커패시터용 활성탄 연구

▶ 2020년도
- 고성능 원통형 전지용 High Nickel NCMA 양극재 개발
- MgO-C 내화재의 고온열화가 슬래그 반응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유해가스 제거용 프리미엄급 활성탄소 제품 개발(Lab)
- MgO-C 제조용 binder의 특성 연구로 제조품질 향상
- 화성 콜타르 중 수분 저감 기술 개발
- 마그네시아 원료에 따른 CaO-Al2O3-SiO2 슬래그와의 용해거동 연구

 

포스코퓨처엠이 사업에 관한 사항



1) 영업개황


  2022년은 전세계적인 긴축 확산과 지정학적 갈등으로 시장 축소와 비용 상승, 공급망 불안이 겹친 그 어느 때보다 경제 불확실성이 높아진 한 해 였습니다. 하지만 당사는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에너지소재사업의 차별적 기술력 확보 및 글로벌 공급망 구축, 기초소재사업의 역량 강화 및 과산화수소 등 사업 다각화를 통하여 연결기준 매출 3조 3,019억원, 영업이익 1,659억원으로 창사이래 최대 실적을 달성하였습니다.

지난해 회사가 추진했던 주요 성과를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첫째, 에너지소재사업의 차별적 기술력 확보 및 글로벌시장 적기대응을 위한 공급망을 구축하였습니다.

변화하는 고객니즈의 적기 대응을 위해 하이니켈 양극재 신제품 및 고효율 실리콘 음극재 등 혁신기술을 개발하여 차별화된 기술 리더십을 공고화 하였습니다. 해외는 美 OEM社와 북미 양극재 JV 설립 및 中 원료社, 양극재, 전구체 JV 증설 투자 등 글로벌 EV수요 적기대응을 위한 기반 구축을 마련하였습니다. 국내는 양극재 광양 60천톤 증설공사를 준공하고, 포항 29천톤 증설공사를 착수하는 등 고객사의 흐름에 발맞춰 생산 능력을 확보하였습니다. 국내외 인조흑연 음극재 공장을 운영해나가는 한편, 그룹과 연계 리튬/니켈/흑연 등 원료 공급망 Value Chain도 강화 하였습니다.

  

둘째, 기초소재사업의 역량을 견고히 하고, 원료경쟁력 기반 사업을 다각화하였습니다.

내화물 사업은 신제품 제조기술 확보와 스마트공장 본격 가동으로 글로벌 신규 고객 확대는 물론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에 사전 대비 하였으며, 라임화성사업에서는 공정최적화를 통한 원가절감으로 사업 경쟁력을 더욱 강화 하였습니다. 원료 경쟁력 기반한  고부가가치 Down Stream 사업인 과산화수소, 석유계 혼합 침상코크스, 음극재용 피치사업 등을 추진하여 사업을 다각화 하였습니다.


셋째, ESG와 기업시민 경영이념 기반 내,외부 협력을 통한 환경경영 체계 강화 및 지배구조 투명성을 강화하였습니다.

폐내화물 재활용을 통한 자원순환 등 기업시민 경영이념을 실천하고, 재해발생 제로화 달성을 위한 핵심 안전활동 강화로 안전문화를 조성하였습니다. 또한, 감사위원회 설치 등의 지배구조 투명성 강화를 통해 지속성장 가능한 모범기업으로 자리매김 하였습니다.

 

2) 산업의 특성

(1) 기초소재사업
노재정비, 내화물축조공사, 생석회 제조사업은 포스코의 조강생산량 증감과 손익이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 내화물 제조
내화물(Refreactory products)이란 고온에서 연화가 되지 않고, 고온ㆍ고열에 견뎌내는 물질로서 1300℃ 이상의 열처리를 하는 모든 공업에 사용되는 세라믹스를 말합니다. 국내 내화물 산업은 90년대 중반까지 중화학 공업의 발전과 함께 지속적 성장을 이루어 설비투자 등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이루었으며 양적, 질적인 성장이 가능하였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전 세계 내화물업체의 과잉 설비로 인한 가동율 감소 및 저가의 중국산 제품의 유입 등 무한경쟁의 체제에 놓여있는 실정입니다. 따라서 극한의 원가 경쟁력 확보와 고부가가치품의 개발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여야 할 것입니다.

- 내화물정비
제철소 고로 및 각종 플랜트에 내화물을 시공하는 노재정비는 제철, 화학업종의 경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국내외로부터 전문성을 인정받아 석유화학 및 플랜트 제조업체로의 매출이 확대되어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당사의 내화물 시공분야 국내 최고수준의 노하우를 가지고 있으며 고로건설과 개수, 철강, 비철, 소각로 및 석유화학 설비는 물론 해외 플랜트 내화물공사의 전문성까지 확보하고 있습니다.

- 라임(LIME)사업
당사는 (주)포스코의 포항제철소 및 광양제철소의 COG가스를 정제하는 화성공장을 위탁운영 중에 있으며, 동공정 중 발생되는 화성품을 매입 및 가공하여 판매하는 화성사업을 영위중에 있습니다. 생석회 시장은 포스코向, 현대제철 제철용 생석회가 전체생석회 시장의 90%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포스코로 공급을 하고 있는 당사와 현대제철이 유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화성사업
당사가 포스코로부터 매입후 가공 판매하는 콜타르 및 조경유 등의 화성제품은 고로를 가진 제철소에서만 생산가능하며 국내에서는 진입장벽이 높은 사업입니다. 콜타르, 조경유 등 화성품 시장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생석회 시장과 같이 소수 업체만이 경쟁하고 있는 과점 형태의 시장을 나타내고 있으며, 제철 부산물로서 석탄화학 가공을 하는 수직계열화 시장의 특성이 존재합니다. 화성품 공급에 있어 당사는 관계사인 피엠씨텍(現 포스코MC머티리얼즈), OCI 등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국내 화성품 시장은 당사 및 현대제철로부터 생산되는 화성품이 대부분 시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에너지소재사업
에너지소재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2010년 8월에 LS엠트론의 음극재 사업부문을 인수 하였고 2019년 4월에 양극재 회사인 포스코ESM 을 흡수합병하여 현재 이차전지 밸류체인에서 후방산업 성격을 띄고있는 고부가가치 소재인 음극활물질(음극재) 소재와 양극활물질(양극재) 소재를 모두 생산중에 있습니다.

당사는 전기차용 이차전지의 시장규모 확대를 예상하며, 이에 따라 증가될 시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설비 확충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음극재 생산 능력은 현재까지 확정된 투자 계획 하에서 천연흑연계 음극재 기준 2021년 61천톤/년(준공기준) 수준에서 2025년에는 106천톤/년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2025년까지 인조흑연계에서도 62천톤/년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춰 2025년에는 총 168천톤/년 체제를 갖출 것으로 전망됩니다. 양극재 생산능력 또한 2022년 45천톤/년 수준에서 2025년에는 345천톤/년 수준까지 대폭 증가할 전망입니다.

이차전지 구성요소 및 양ㆍ음극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차전지의 구성



 


* 이차전지(Secondary cell)
이차전지란, 방전이 되면 사용 불가능한 일회적인 1차전지와는 달리, 전기를 저장했다가 2회이상 반복사용이 가능한 전지를 말합니다. 재사용이 불가능한 1차전지보다 경제적이고 환경 친화적이며 최근 전 세계적으로 ESS(Energy Storage System), EV, IT/Moblie 용 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 양극재(Cathode material)
양극재는 리튬이온전지의 4가지 핵심소재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또한, 리튬의 공급원으로써, 전지 충/방전 시 양극재의 결정격자로부터 리튬을 방출/흡수하여, 전지 내에 전기에너지를 저장 및 방출을 가능하게 합니다. 리튬을 많이 포함한 양극재를 사용할수록 용량이 커지게 되고, 음극재와 양극재의 전위차가 크면 전압이 커집니다.

- 음극재(Anode material)
음극재는 리튬이온과 전자를 전지 충전 시 저장하였다가 방전 시 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즉, 전지가 충전상태일 때 리튬이온은 음극에 존재하며 방전 시 리튬이온은 전해액을 통해 다시 양극으로 이동하게 되고, 리튬이온과 분리된 전자는 도선을 따라이동하면서 전기를 발생시킵니다.

3) 산업의 성장성 및 국내외 시장여건

(1) 기초소재사업

- 내화물사업
내화물 시장은 국내 업체들도 치열한 가격 경쟁에서 살아 남기 위해 중국진출 등을 통해 가격경쟁력을 확보하였으며 세계시장에서도 충분한 원가경쟁력을 보유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다국적기업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업체간의 과다한 경쟁을 자제하고 현재의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한다면 국내 시장의 방어는 물론 경쟁력을 강화하여 세계시장으로의 확대도 가능하리라 여겨집니다.

- 라임화성사업
화성품의 경우 제철공업 및 화학공업의 대표 원료로서 그 수요가 소폭 증가하고 있으나, 전극봉 및 인조흑연 음극재의 원료인 침상코크스 사업, 전극재의 주 원료인 피치코크스 사업, 흑연블록 사업 등 석탄화학 사업의 기초소재로 활용되고 있는 콜타르 수요처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화성품, 석회의 품질 개선, 공급 확대 등에 대한 다양한 요구로 소성기술의 발전 및 신식 소성로의 도입 등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향후 고부가가치의 Down Stream사업(침상코크스, 음극재)의 성장에 따라 화성품 가치의 상승은 증대할 것으로 전망되며, 또 하나의 주요 신소재로서 자리매김하면서 그 수요는 지속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시장점유율 등

구 분 2021년 2020년 2019년
포스코케미칼 18.7% 19.4% 19.8%

※ 대한내화물공업협동조합발행책자(2021.6) '내화물공업현황'을 참고하였으며 주요 경쟁업체의 2020년도 내화물 생산실적을 바탕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생석회, 화성 사업부의 매출 대부분은 (주)포스코로 발생합니다.


(2) 에너지소재사업

2차전지 산업 밸류체인 자료 : 신한금융투자

 

 


이차전지의 4대 핵심요소는 양극활물질(양극재), 음극활물질(음극재), 분리막 및 전해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SK온 등 배터리 제조업체는 핵심 소재들을 매입 또는 자체생산하여 이차전지를 생산하고, 최종적으로 IT, 자동차, 에너지 업체들에 공급합니다. 주요 최종 적용 제품으로는 소형분야인 모바일기기와 중대형분야인 전동공구, E-bike, 전기차, 전력저장시스템(ESS) 등이 있습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리튬이온 이차전지 시장)은 2021년 438GWh에서 2030년 4,271GWh까지 약 9.8배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대형분야인 전기차 시장은 전세계적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에 힘입어 2030년 3,750GWh의 수요가 전망되며 2021년 대비 약 12.6배 가량의 폭발적인 성장이 전망됩니다. 이외에도 전력저장시스템(ESS), 전동공구, E-bike 및 모바일, E-모바일 등 소형분야에서도 이차전지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 규모 전망]

글로벌 전기차 시장 규모 전망 자료 : SNE Research



 



[글로벌 리튬이온배터리 수요 산업 비중 변화 예상]

수요 산업 비중 변화 포스코경영연구원, NICE평가정보



 



최근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전기차 보급, 신재생에너지의효율적 저장이 가능한 에너지 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ESS) 등이 각국 정부의 보조금 지원 등 정책 및 규제에 힘입어 전세계적으로 뚜렷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이차전지는 4차산업의 주요 소재로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전기차 배터리업체를 대상으로 이차전지 주요 소재를 납품하여 매출을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배터리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당사의 주요 매출처인 LG에너지솔루션의 경우 2022년 누적기준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점유율 3위(12.3%)를 기록하며 전년대비 한계단 낮아졌지만 배터리 사용량은 작년 동기대비 9.7% 증가하는 여전한 성장세를 보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장세와 함께 2020년 1월, 당사와 1조 8천억원 규모의 양극재 중장기 단가 및 공급계약을 체결하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최근 삼성SDI로 매출처를 다변화 하였으며 향후 10년간 약 40조원 규모의 양극재(NCA)를 공급 예정입니다.


이차전지 사업은 IT기기의 성장과 친환경, 각국의 에너지절감 정책에 따른 EV, ESS시장의 확대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특히, 전기차용 이차전지 시장은 중국의강력한 전기차 산업 육성 정책, 유럽의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와 글로벌OEM업체들의 전기차 모델비중 확대 추세로 2022년 1,083만대에서 2030년 6,130만대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기차 시장 성장 수혜가 예상됩니다.

시장 성장의 이유로는 아래와 같이 3가지의 이유로 보고 있습니다.

○ 주요국가의 EV Drive 정책
급격하게 증가하는 전기자동차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각 국가별 다양한 이차전지
산업 육성 및 활성화 정책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중국, 미국, 유럽 등 EV 주요 생산 및 판매 국가에서 구매자들에게 세제 혜택과 차량 보조금을 지급해주며 자동차 생산업체에게 전기차 생산을 의무화하고, 내연기관의 배출가스 규제 강화 또는 내연기관의 퇴출을 목표로 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소비자들의 EV 구매의 매력 상승과 완성체 업체의 전기차 포트폴리오 확대 및 생산/공급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글로벌 Car OEM 업체들의 전기차 판매 목표
각국의 완성차 업체들의 전기차 라인업이 추가 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본격적인 전기차 시장의 확장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독일의 폭스바겐은 '트랜스폼 2025+' 라는 전략 하에 2025년까지 연간 150만대의 전기차 판매를 목표로 하며, 장기적으로는 2050년까지 완전한 탄소중립실현을 목표로 하고있습니다. 일본의 도요타 또한 2025년까지 전기차 라인업을 10종 이상으로 확대하며 연간 350만대의 판매량 목표를 세웠습니다.

○ 전기차 생산 기술 발전에 따른 주행거리 상승 & 가격 하락
최근 계속되는 양극재 중심의 배터리 발전으로 배터리의 에너지밀도가 향상되고 있습니다. 고가 소재인 코발트 중심의 양극재에서 하이-니켈 중심의 양극재 중심으로 발전하면서 배터리 효율성이 개선되어 내연기관과 비교하여 단점이었던 EV의 주행거리가 상승하고 생산단가를 낮추는 효과를 얻고 있습니다.

에너지소재부문의 시장 점유율은 판매 제품의 다양성으로 정확한 비교가 어려워 기재를 생략합니다.

4)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전 사업부문에서 계절적 영향은 크지 않은 편입니다.

(1) 기초소재사업

- 내화물사업
내화물 산업의 매출비중은 제철, 제강산업이 약 70%, 시멘트, 요업산업이 약 10%로 2개 주요산업의 비중이 약 80%를 차지하고 있어, 상기 산업의 경기변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내화물의 중요한 원.부원료는 중국 등 해외에 의존하고 있으며, 당사는 자체 공장에서 고품위의 해수 마그네시아 클린커를 생산하여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는 원료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 라임화성사업
생석회 및 화성사업은 제철소의 조강생산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조강생산량 증감에 따라 손익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국내 철강시장의 치열한 경쟁속에서도 지속적인 원가절감을 통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하고 있으며, 포스코 해외 제철소 사업에도 동반진출하여 관련사업을 영위 중에 있습니다. 생석회의 주원료인 석회석은 당사와 포스코가 강원도 및 일본에서 공동구매 형식으로 구매하고 있습니다.

(2) 에너지소재사업
이차전지소재사업은 글로벌 전기차 시장 및 IT기기 시장의 성장확대와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선진 국가들은 탄소저감을 위하여, 전기차 구매에 대한 보조금 등의 각종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있는데 향후 국가별 정책변화에 따라 산업의 성장속도는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양극재의 주원료는 니켈, 코발트, 망간 등으로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음극재의 주원료인 천연흑연은 중국이 최대 생산국이며 콜타르를 가공하여 생산되는 인조흑연은 일본 등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5) 경쟁력

당사는 포스코그룹 차원에서 원료부터 소재, 폐배터리 리사이클링까지 배터리소재 풀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있고, 탈중국 난이도가 가장 높다고 평가받는 흑연계 음극재를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하고 있어 향후 글로벌 완성차, 배터리 기업들 대상 매출액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당사는 2022년 8월 GM과 합작사(Ultium CAM)를 설립하여 연간 3만톤 규모의 캐나다 공장의 착공에 돌입, 하이니켈 양극재 공장을 건설하고 있으며, 이는 2024년 하반기 완공 예정 및 2025년 상반기 생산을 시작할 계획입니다. 또한, 양극재 원료인 리튬의 경우 당사의 최대주주인 포스코홀딩스(주)가 아르헨티나 염호, 호주 광산 투자 등을 통해 2024년 9만 3천톤의 생산체제를 구축하고 2030년에는 30만톤까지 생산능력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당사의 양극재 생산능력과 이에 따른 리튬 투입량을 감안하면 2030년 당사의 리튬 자급률은 100%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니켈 역시 포스코홀딩스(주)가 광석 채굴부터 제련, 리사이클링을 통한 니켈 확보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여 2030년 22만톤의 니켈 생산체제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포스코홀딩스(주)는 호주 니켈 광산을 보유한 레이븐소프의 지분을 인수했으며, 뉴칼레도니아 광산업체와 합작사를 설립하여 전기차 배터리용 황산니켈을 생산할 계획입니다.

또한, 당사가 생산하는 천연흑연 음극재의 원료인 흑연은 전세계적으로 중국의 시장지배력이 높으나 포스코그룹 차원에서 탄자니아 마헨지 흑연 광산에 투자함으로써 중국 외 흑연 공급망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인조흑연 음극재의 경우, 핵심 원료인 침상코크스를 자회사인 (주)포스코MC머티리얼즈(舊. 피엠씨텍)가 (주)포스코 제철 공장의 부산물 콜타르를 활용하여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원료부터 최종 소재 생산까지 수직 계열화 및 국산화를 추진중입니다. 음극재의 경우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전기차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글로벌 업체가 중국을 제외하면 당사가 유일하기 때문에 해당 분야에서 IRA 도입의 수혜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당사는 포스코그룹 차원의 배터리소재 밸류체인 구축이라는 강점을 기반으로 미국 IRA의 도입 후 배터리 소재 산업에서의 글로벌 경쟁력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스코그룹 내 리튬, 니켈, 흑연 등 배터리 소재 원료에 대한 생산량이 계획보다 축소되거나 지연될 경우 IRA의 강화된 원산지 규제를 충족시키지 못할 수 있으며, 현 시점에서 전망되고 있는 수혜 규모가 축소될 수 있습니다.

또한, GM과의 합작사를 통한 캐나다 하이니켈 양극재 공장 건설 외에도 향후 IRA의 脫중국 규제를 충족시키기 위한 신규 시설 투자로 인한 자금 소요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운데 IRA의 전기차와 관련된 제재 및 보조금 도입 시점이 연기되거나, 세액 공제 규모가 축소되는 경우 동사의 수익성 및 재무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마. 사업부문별 주요 재무정보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 품 목 구체적용도 2022년 (제52기) 2021년 (제51기) 2020년 (제50기)
매출액 매출액비율(%) 영업손익 영업손익비율(%) 매출액 매출액비율(%) 영업손익 영업손익비율(%) 매출액 매출액비율(%) 영업손익 영업손익비율(%)
기초소재
사업
내화물
사업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노재 정비
내화물 제조 및
산업용노재 정비
551,657 16.7 7,347 4.4 462,518 23.3 19,985 16.4 452,824 28.9 27,393 45.4
라임화성
사업
생석회, 화성품 가공 및 판매,
화성공장 위탁 운영
생석회, 화성품 가공 및 판매,
화성공장 위탁 운영
811,988 24.6 7,912 4.8 675,258 33.9 62,872 51.7 580,146 37.0 29,221 48.5
에너지소재 사업 양극재, 음극재 배터리 소재 1,938,271 58.7 150,612 90.8 851,766 42.8 38,819 31.9 533,266 34.1 3,656 6.1
합 계 - - 3,301,916 100.0 165,872 100.0 1,989,542 100.0 121,676 100.0 1,566,236 100.0 60,270 100.0


* 공통 판매비와 관리비 및 자산의 합리적 배부 기준 적용
ㆍ공통 판매비와 관리비의 경우 각 사업부문 매출액에 비례하여 적절히 배부하고 있습니다.
ㆍ공통자산의 경우 직접귀속이 가능한 자산(재고자산, 고정자산, 투자자산 등)은
 해당 부서에 직접 귀속되나, 전사 공통관리가 필요한 자산 및 자산귀속이
 불분명한 자산은 필요한 경우 합리적인 배부 기준(매출액비, 세전이익비 등)에
 의거 각 부문에 배부하고 있습니다.

바. 종속회사의 사업현황

당사는 PT.Krakatau Posco Chemical Calcination의 지분 80%, Zhangjiagang Pohang Refractories의 지분 51%, (주)피앤오케미칼의 지분 51%, ZHEJIANG POSCO-HUAYOU ESM CO., LTD의 지분 41.3%, POSCO CHEMICAL CANADA INC.의 지분 100%, ULTIUM CAM GP INC.의 지분 85%, ULTIUM CAM LIMITED PARTNERSHIP의 지분 85%를 보유 중입니다.

[PT.Krakatau Posco Chemical Calcination]
포스코케미칼은 포스코의 인니제철소 사업파트너 PT-krakatau Steel의 자회사인 PT-KIEC사와 8:2(포스코케미칼 : 80%, PT-KIEC : 20%)의 비율로 지분을 투자하여 인니에 설립된 해외법인으로, 생석회를 생산하여 인도네시아 일관밀 PT-KP(PT.Krakatau Posco) 제강 공장에 공급중에 있습니다. 


[Zhangjiagang Pohang Refractories]
중국 강소성 장가항시에 소재하며 내화재료 공급, 노재정비 작업 수행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주)피앤오케미칼]
OCI(주)와 합작하여 설립한 법인으로 전남 광양에 소재하고 있으며, 과산화수소, 정제COG 등 각종화학제품 및 부산물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ZHEJIANG POSCO-HUAYOU ESM CO., LTD]
중국 절강성 가흥시에 소재하며 양극재 제조 및 판매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POSCO CHEMICAL CANADA INC.]
캐나다 퀘백주에 소재하며 GM과 합작법인인 ULTIUM CAM LIMITED PARTNERSHIP의 지주사입니다.

[ULTIUM CAM GP INC]
캐나다 퀘백주에 소재하며 GM과 합작법인인 ULTIUM CAM LIMITED PARTNERSHIP의 투자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ULTIUM CAM LIMITED PARTNERSHIP]
캐나다 퀘백주에 소재하며 양극재 제조 및 판매 예정입니다.

 

사. 신규사업
 

당사는 제철 부산물을 활용한 화학분야의 사업확장을 위해 OCI(주)와 합작하여 합작법인(51%:49%)인 피앤오케미칼을 설립하고 석탄화학 사업에 진출하였습니다. 현재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의 산업용 고순도 과산화수소를 생산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차전지의 음극재용 필수 소재인 고연화점 피치 생산을 위해 2023년 7월 준공을 목표로 건설중에 있습니다.
과산화수소는 광양제철소의 부산물인 코크스 오븐가스를 사용해 제조하며, 일반 산업용은 친환경적인 산화제로 활용하고 전자급은 반도체 및 태양광 등 분야의 식각과 세척에 활용됩니다. 음극재용 피치는 정유사의 부산물을 사용해 제조하며, 배터리 저팽창 및 장수명을 목적으로 천연 및 인조흑연의 표면 코팅에 사용됩니다. 기존에 전량 수입하여 사용하던 피치의 국산화를 위한 사업으로 1단계는 15,000톤/년, 배터리 시장규모 확대에 따라 향후 추가로 25,000톤/년 증설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피앤오케미칼의 총 사업 예산은 약 2,423억원이며, 2020년에 153억원, 2021년에 약 270억원, 2022년에 약 114억원의 자본을 납입하여 현재 총 약 537억원의 자본을 납입하였습니다. 

자본금 1,353억과 시설자금 1,070억원으로 투자자금을 조달할 예정이며, 예상투자회수기간은 과산화수소 9년, 음극재용 피치 10년입니다.
과산화수소는 전자급과 일반산업용 제품으로 나뉘며, 일반산업용 제품은 2022년 6월에 과산화수소 공장 조기준공 후 정상적으로 생산판매를 하고 있으며, 전자급 제품은 2023년 1월에 인증획득을 하여 생산 판매중입니다. 2022년에는 초기 공장 안정화과정에서 손실이 발생하였으며, 향후 전자급제품 생산이 안정화 될때까지 고정비 등 공정 안정화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음극재용 피치는 2022년 9월 착공하여 2022년 12월기준 건설진도율 51.4%로 상세설계 및 주요기자재 구매, 토목공사 등 순조롭게 진행 중에 있습니다.
피치의 초도품 생산은 2023년 7월 준공후 2023년 10월 경으로 예상되며, 과산화수소와 음극재용 피치 두 제품 모두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한 제품 생산 및 품질 안정화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 외부자금조달 요약표

[국내조달]                                                                                  (단위 : 백만원)

조 달 원 천 기초잔액 신규조달 상환등감소 기말잔액  
은 행 212,590 481,080 355,194 338,476 -
보 험 회 사 - - - - -
종합금융회사 - - - - -
여신전문금융회사 - - - - -
상호저축은행 - - - - -
기타금융기관 - - - - -
금융기관 합계 212,590 481,080 355,194 338,476 -
회사채 (공모) 660,000 300,000 130,000 830,000 -
회사채 (사모) - - - - -
유 상 증 자 (공모) 1,273,518 - - 1,273,518 -
유 상 증 자 (사모) - - - - -
자산유동화 (공모) - - - - -
자산유동화 (사모) - - - - -
기 타 - - - - -
자본시장 합계 1,933,518 300,000 130,000 2,103,518 -
주주ㆍ임원ㆍ계열회사차입금 - - - - -
기 타 - - - - -
총 계 2,146,108 781,080 485,194 2,441,994 -
(참 고) 당기 중 회사채 총발행액 공모 : 300,000 백만원
  사모 : - 백만원


[해외조달]                                                                                  (단위 : 백만원)

 

조 달 원 천 기초잔액 신규조달 상환등감소 기말잔액 비고
금 융 기 관 - - - - -
해외증권(회사채) 118,550 8,180 - 126,730 환율반영
해외증권(주식등) - - - - -
자 산 유 동 화 - - - - -
기 타 - - - - -
총 계 118,550 8,180 - 126,730 -

 

재무제표  (단위 : 원)

 

자산  제 52 기   제 51 기  제 50 기
 유동자산 1,832,808,915,528 2,051,785,743,964 776,817,440,890
  현금및현금성자산 170,183,646,013 65,959,239,688 103,355,584,666
  기타유동금융자산 526,375,340,122 1,274,008,194,141 195,309,800,943
  매출채권 257,054,345,914 233,345,349,382 270,859,768,317
  유동계약자산 11,953,195,995 5,288,348,919 7,806,781,696
  재고자산 828,473,279,291 437,756,496,390 183,814,407,184
  기타유동자산 38,769,108,193 35,428,115,444 15,212,376,241
  당기법인세자산     458,721,843
 비유동자산 2,443,816,819,477 1,709,547,303,954 1,217,304,473,782
  유형자산 1,787,296,220,358 1,349,784,560,232 906,243,112,979
  사용권자산 94,562,340,169 91,205,303,373 109,170,027,836
  무형자산 29,306,797,900 33,366,033,682 31,348,016,014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 478,110,895,624 188,532,220,442 158,559,798,243
  기타비유동금융자산 5,657,999,570 4,400,346,951 4,401,670,530
  투자부동산 188,070,156 188,070,156 223,104,466
  순확정급여자산 31,137,959,493 10,785,080,355 7,326,139,201
  기타비유동자산 769,010,205 26,823,860,781 32,604,513
  이연법인세자산 16,787,526,002 4,461,827,982  
 자산총계 4,276,625,735,005 3,761,333,047,918 1,994,121,914,672
부채      
 유동부채 920,661,300,495 604,654,066,630 203,621,771,326
  매입채무 278,111,931,635 212,422,491,263 107,009,611,765
  유동계약부채 4,659,210,099 948,339,733 6,908,524,166
  단기차입금 183,190,258,828 54,590,054,035  
  유동성장기차입금 및 사채 262,105,774,279 187,608,930,341  
  기타유동금융부채 149,220,127,151 109,180,120,450 61,796,202,422
  유동리스부채 18,011,031,233 18,279,391,634 18,822,952,259
  당기법인세부채 18,426,156,911 14,870,086,443  
  기타충당부채 3,917,731,426 3,437,946,900 3,943,807,946
  기타유동부채 3,019,078,933 3,316,705,831 5,140,672,768
 비유동부채 928,840,118,957 825,357,809,532 829,487,929,464
  장기차입금 및 사채 848,410,899,757 747,661,666,587 725,712,540,515
  기타비유동금융부채 1,082,210,726 3,189,418,038 12,971,006,393
  이연법인세부채     488,952,261
  비유동리스부채 73,597,962,825 69,195,862,964 85,992,372,293
  기타비유동충당부채 5,749,045,649 5,310,861,943 4,323,058,002
 부채총계 1,849,501,419,452 1,430,011,876,162 1,033,109,700,790
자본      
 자본금 38,731,610,000 38,731,610,000 30,494,110,000
 자본잉여금 1,451,066,931,030 1,450,520,343,330 191,948,791,124
 자본조정 (7,192,008,602)    
 기타포괄손익누계액   78,778,940 78,778,940
 이익잉여금(결손금) 944,517,783,125 841,990,439,486 738,490,533,818
 자본총계 2,427,124,315,553 2,331,321,171,756 961,012,213,882
자본과부채총계 4,276,625,735,005 3,761,333,047,918 1,994,121,914,672

 

포괄손익계산서
제 52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제 51 기 2021.01.01 부터 2021.12.31 까지
제 50 기 2020.01.01 부터 2020.12.31 까지
(단위 : 원)

 

   제 52 기 제 51 기 제 50 기
수익(매출액) 3,041,287,029,187 1,939,523,998,420 1,524,145,792,626
매출원가 2,732,403,053,083 1,709,117,288,036 1,384,108,052,890
매출총이익 308,883,976,104 230,406,710,384 140,037,739,736
일반관리비 145,639,948,646 101,793,697,807 72,571,785,274
판매및물류비 10,053,806,010 8,000,945,208 7,016,168,152
영업이익(손실) 153,190,221,448 120,612,067,369 60,449,786,310
기타이익 3,768,106,731 3,205,088,879 2,905,502,414
기타비용 3,257,667,183 12,738,197,086 1,766,486,141
금융수익 142,658,812,625 50,630,959,650 46,448,648,588
금융비용 170,797,828,777 33,702,992,933 44,084,888,584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125,561,644,844 128,006,925,879 63,952,562,587
법인세비용 10,708,184,214 8,882,719,096 8,098,586,273
당기순이익(손실) 114,853,460,630 119,124,206,783 55,853,976,314
기타포괄손익 10,834,070,069 2,672,164,885 149,973,831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10,834,070,069 2,672,164,885 149,973,831
  순확정급여부채(자산)의 재측정요소 10,228,500,069 2,672,164,885 149,973,831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 605,570,000    
총포괄손익 125,687,530,699 121,796,371,668 56,003,950,145
기본 및 희석주당이익      
 기본 및 희석 주당이익 (단위 : 원) 1,483 1,557 916

 

자본변동표
제 52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제 51 기 2021.01.01 부터 2021.12.31 까지
제 50 기 2020.01.01 부터 2020.12.31 까지
(단위 : 원)

 

  자본
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자본  합계
2020.01.01 (기초자본) 30,494,110,000 191,948,791,124   78,778,940 706,881,871,673 929,403,551,737
당기순이익(손실)         55,853,976,314 55,853,976,314
기타포괄손익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149,973,831 149,973,83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처분            
총포괄손익         56,003,950,145 56,003,950,145
소유주와의 거래 지분의 발행            
배당금지급           (24,395,288,000)
자기주식의 취득            
자기주식의 처분            
2020.12.31 (기말자본) 30,494,110,000 191,948,791,124   78,778,940 738,490,533,818 961,012,213,882
2021.01.01 (기초자본) 30,494,110,000 191,948,791,124   78,778,940 738,490,533,818 961,012,213,882
당기순이익(손실)         119,124,206,783 119,124,206,783
기타포괄손익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2,672,164,885 2,672,164,885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처분            
총포괄손익         121,796,371,668 121,796,371,668
소유주와의 거래 지분의 발행 8,237,500,000 1,258,571,552,206       1,266,809,052,206
배당금지급         (18,296,466,000) (18,296,466,000)
자기주식의 취득            
자기주식의 처분            
2021.12.31 (기말자본) 38,731,610,000 1,450,520,343,330   78,778,940 841,990,439,486 2,331,321,171,756
2022.01.01 (기초자본) 38,731,610,000 1,450,520,343,330   78,778,940 841,990,439,486 2,331,321,171,756
당기순이익(손실)         114,853,460,630 114,853,460,630
기타포괄손익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10,228,500,069 10,228,500,069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605,570,000   605,570,00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처분       (684,348,940) 684,348,940  
총포괄손익       (78,778,940) 125,766,309,639 125,687,530,699
소유주와의 거래 지분의 발행            
배당금지급         (23,238,966,000) (23,238,966,000)
자기주식의 취득     (9,650,148,650)     (9,650,148,650)
자기주식의 처분   546,587,700 2,458,140,048     3,004,727,748
2022.12.31 (기말자본) 38,731,610,000 1,451,066,931,030 (7,192,008,602)   944,517,783,125 2,427,124,315,553

 

현금흐름표
제 52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제 51 기 2021.01.01 부터 2021.12.31 까지
제 50 기 2020.01.01 부터 2020.12.31 까지
(단위 : 원)

 

  제 52 기 제 51 기 제 50 기
영업활동현금흐름 (67,143,622,653) 91,226,650,165 28,447,254,016
 당기순이익(손실) 114,853,460,630 119,124,206,783 55,853,976,314
 조정 162,453,496,282 113,185,249,486 79,914,561,239
 영업활동으로인한자산ㆍ부채의변동 (357,449,297,130) (151,768,458,370) (104,311,000,597)
 이자수취(영업) 17,925,941,783 17,323,633,227 3,816,407,106
 이자지급(영업) (7,267,032,882) (8,278,000,902) (12,451,881,863)
 배당금수취(영업) 25,317,508,800 997,829,600 20,566,325,806
 법인세납부 (22,977,700,136) 642,190,341 (14,941,133,989)
투자활동현금흐름 (65,822,020,396) (1,611,790,463,005) (247,043,303,816)
 단기금융상품의 순증감 (10,000,000,000) (9,950,000,000) (2,050,000,000)
 장기금융상품의 처분     50,000,000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의 처분 1,257,416,421,809 184,387,308,138 176,951,346,14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의 처분 1,459,500,000    
 대여금의 회수 1,243,033,999 1,738,475,317 1,816,092,000
 보증금의 감소 20,000,000 1,041,143,160 32,688,119
 유형자산의 처분 78,426,000 71,886,000 845,845,090
 예치금의 감소 1,252,849,194 4,816,979,193 713,651,956
 무형자산의 처분   600,000,000 85,454,546
 정부보조금의 수령 282,065,117 4,010,660,806 1,379,528,134
 종속기업투자주식의 처분 122,625,995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의 취득 (551,549,402,886) (1,260,469,307,581) (184,387,308,138)
 기타포괄-공정가치금융자산 취득     (22,850)
 대여금의 증가 (2,429,888,930) (1,400,000,000) (1,259,623,650)
 보증금의 증가   (1,163,404,000) (37,434,009)
 예치금의 증가 (930,945,262) (1,239,159,766) (5,081,790,000)
 유형자산의 취득 (493,735,439,370) (468,075,138,781) (217,755,175,548)
 리스개설원가 지급   (279,224,000)  
 무형자산의 취득 (5,574,088,354) (9,691,141,818) (2,930,935,607)
 관계기업투자주식 취득 관련 선급금의 증가   (26,217,117,474)  
 종속기업투자주식의 취득 (117,400,047,612) (26,979,000,000) (15,415,620,000)
 관계기업투자주식의 취득 (146,077,130,096) (2,993,422,199)  
재무활동현금흐름 243,326,921,682 1,483,152,568,641 292,408,867,284
 차입금의 증가 481,061,863,529 54,644,641,237 177,500,000,000
 사채의 증가 299,048,960,000 199,366,260,000 331,257,160,000
 유상증자   1,266,809,052,206  
 차입금의 상환 (354,528,817,925)   (170,000,000,000)
 배당금지급 (23,238,966,000) (18,296,466,000) (24,395,288,000)
 리스부채의 지급 (19,365,969,272) (19,370,918,802) (21,953,004,716)
 자기주식의 취득 (9,650,148,650)    
 사채의 상환 (130,000,000,000)    
현금의 증가 110,361,278,633 (37,411,244,199) 73,812,817,484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65,959,239,688 103,355,584,666 30,569,972,876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대한 환율변동효과 (6,136,872,308) 14,899,221 (1,027,205,694)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170,183,646,013 65,959,239,688 103,355,584,666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제 52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제 51 기 2021.01.01 부터 2021.12.31 까지
제 50 기 2020.01.01 부터 2020.12.31 까지
(단위: 천원)

 

과 목 제52(당) 기  제 51(전) 기 제 50(전전) 기
Ⅰ. 미처분 이익잉여금   125,791,645   121,833,051   56,033,145
전기이월이익잉여금 25,335   36,679    29,195  
순확정급여부채(자산)의 재측정요소 10,228,500   2,672,165   149,974  
공정가치평가금융자산 처분 684,349   -   -  
당기순이익 114,853,461   119,124,207   55,853,976  
Ⅱ. 임의적립금 등의 이입액   -   -   -
연구및인력개발준비금 -   -   -  
Ⅲ. 이익잉여금 처분액   125,791,645   121,807,716   55,996,466
이익준비금 -   4,118,750   -  
기업합리화적립금 26,000,000   31,450,000   12,600,000  
시설투자적립금 26,000,000   31,500,000   12,600,000  
결손보전적립금 -   -   12,500,000  
연구및인력개발준비금 25,500,000   15,800,000   -  
해외시장개척준비금 25,069,489   15,700,000   -  
배당금
(현금배당주당배당금(률):
 보통주: 당기 300원(60%)
            전기 300원(60%)
            전전기 300원(60%)
23,222,156   23,238,966   18,296,466  
Ⅳ. 차기이월 미처분이익잉여금   -   25,335   36,679

 

반응형
Comments